T-DMB 베트남 ‘안착할까?

우리나라 독자 기술인 지상파DMB(T-DMB) 시범서비스가 베트남에서도 실시된다. 최근 캄보디아는 지난해지상파DMB 시범서비스에 이어 올해 안 상용서비스 제공방침을 밝힌 바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베트남 국영방송사(VTV, Vietnam Television)가 지상파 DMB 시범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이를 기념한 개국식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내 지상파DMB 서비스가 베트남에서 시범서비스에 들어갔다. 27일 개국식에서 정순경 한국전파진흥협회 부회장, 이건수 동아일렉콤 사장, 박석환 주베트남 대사, 이경자 방통위 부위원장, 레남탕(Le Nam Thang) 베트남 정통부 제1차관, 부반히엔(Vu Van Hien) VTV 사장, 쩐남쭝(Tran Nam Trung) Broadcom 사장, 양승택 전 정통부장관, 김흥남 ETRI 원장(왼쪽부터)이 개국을 알리고 있다.

방통위는 지난 4월, 베트남 정부 및 VTV의 T-DMB 상용화 전환의지가 확고하고 시범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확보, 방송시스템 구축 환경의 용이성 등이 우수해 베트남을 최종 지원 대상국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부터는 시범서비스 실시를 위해 주관사인 VTV에 T-DMB방송을 위한 시스템설치 및 교육 등을 진행해왔다.

전체인구 약 8500만명의 베트남은 방송통신서비스 등 신기술?신문화 수용도가 높은 28세 이하 인구가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이동단말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T-DMB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방통위는 내다봤다.

VTV는 지상파 DMB 시범서비스를 시작하는 하노이에서 2개의 비디오채널과 1개의 비주얼라디오 채널로 향후 1년간 지상파DMB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베트남 레 남 탕 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한국의 적극적 지원으로 베트남 하노이에 지상파 DMB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게 됐다”며, “내년 초까지 본방송 전환을 목표로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방통위 이경자 부위원장은 “베트남의 지상파 DMB 시범서비스는 동남아권의 모바일방송 확산을 위해 큰 의미를 갖는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베트남과 방송 콘텐츠 및 기술교류를 통해 지상파DMB 본방송 전환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 날 개국식 행사에는 레 남 탕 베트남 정보통신부 1차관, 쩐 득 라이 2차관, 부 반 히엔 VTV 사장, 이경자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정순경 한국전파진흥협회 부회장 등 양국의 방송관련 주요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Visited 78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