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구글폰’이 올해 나올 수 있을 것인가? 월 스트리트 저널(WSJ)이 “올해 안 출시가 힘들 것”으로 전망한 반면, 구글은 “하반기 출시”를 장담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구글은 지난해 11월, 모바일기기 개방형 플랫폼 ‘안드로이드’를 발표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휴대폰 출시를 공식화한 바 있다. 당시 30여개 협력업체와 함께 올 하반기 ‘구글폰’ 출시를 확약하기도 했다.
![]() |
||
| ▲ 구글이 공개한 안드로이드 탑재 구글폰 샘플. | ||
이와 관련, WSJ은 이통사나 제조업체 등이 올 하반기 구글폰 출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출시 시기 역시 올해를 넘길 수도 있다고 23일(현지시각) 전했다.
현재 구글폰은 T-모바일 USA가 올 4분기 출시할 예정이지만, 스프린트 넥스텔 경우 연내 구글폰 출시 목표를 늦출 것이라고 WSJ은 관계자 말을 인용, 보도했다. WSJ은 또 차이나 모바일 역시 당초 구글폰 발매 시기를 3/4분기에서 연내 혹은 내년 초로 늦출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구글이 안드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발자 킷 공개에 이어 전세계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음에도 불구, 일부 대기업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시큰둥 한 것도 구글폰 출시를 어렵게 한다고 WSJ은 지적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직접 하는 애플(아이폰)과 달리, 구글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통신사업자 등 각 분야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쉽지 않은 작업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자사 특화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통사와 구글 OS 안드로이드 간 호환 작업이 예상외 어려움을 겪으면서 단말 제조업체들 또한 제품 개발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스프린트가 구글 ‘안드로이드폰’ 대신 ‘4G 네트워크’용 단말 개발로 전략을 바꾸려는 움직임도 보인다며 구글의 곤란한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구글은 이날 “올 하반기 구글폰을 출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WSJ 등 일각의 우려를 반박했다.
![]() |
||
한편, 현재 안드로이드는 이통사와 단말 제조업체에 프로토타입 제공을 끝낸 상태로 특히 반도체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단말 제조업체나 이통사의 개발 비용•시간을 최소화한다는 게 구글 방침이다.
초기 다기능을 내장한 고급형 단말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구글폰에는 터치스크린, 슬라이드 식 쿼티 자판, 트랙볼 등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휴대폰 위치 특정 기능과 홍채 스캔을 통한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IM) 등이 통합된 주소록 등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개발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글은 이를 통해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도 PC 검색 1위 자리를 이어갈 수 있으리란 기대다. 저가 단말 공급에도 불구, 광고 수입을 통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으리란 새로운 실험인 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