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술 Seeded DWDM, ITU표준 승인

      국내기술 Seeded DWDM, ITU표준 승인에 댓글 닫힘

한국 원천 광통신 기술이 드디어 세계 표준으로 승인되며, 국제 광통신 표준화에 한 축을 담당하게 됐다.

LG에릭슨(대표 이재령 www.lgericsson.com CEO)은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제15 연구반(이하 ‘SG15’) 회의에서 Seeded DWDM(Dense Wave Division Multiplexing: 고밀도 파장 분할 다중화) 응용 기술이ITU-T G.698.3 표준으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ITU-T G.698.3 표준은 한국에서 보유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LG에릭슨이 에디터를 맡아 K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KAIST와 공동 협력해 개발됐다.

Seeded DWDM기술이란 하나의 광섬유에 여러 종류의 파장을 다중화해 전송하는 DWDM 기술의 발전된 개념으로 외부에서 주입한 광의 파장에 광송신파장이 잠김(Locking)돼, 광송신기를 파장에 무관하게 만들어 주는 미래 광네트워크의 핵심기술이다. 특히, seeded DWDM 에 기반한 광통신/광통신망은 메트로 및 엑세스망에서 대역폭의 부족으로 발생될 수 있는 통신 트래픽의 과부하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회사측에 따르면, 전세계 통신 표준을 이끌고 있는 ITU-T에서 Seeded DWDM 기술이 G.698.3 표준으로 승인이 된 것은 우리나라의 광통신 관련 원천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첫 사례다. LG에릭슨은 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해 현재 ‘EA1100’이란 제품명으로 국내 및 유럽, 미국 등지에 수출하며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통신 관련 각계 전문가들은 이번 표준 승인을 계기로 향후 전세계 메트로 및 액세스 망 시장이 더욱 확대됨에 따라 관련 수출이 크게 늘어나는 등, 국내 관련 연구 및 산업 활성화에도 일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G 에릭슨의 권경인 CTO는 “데이터 트래픽 폭증으로 유무선 통신망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차세대 광통신 기술을 활용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대역 통신망 구축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며 “새로 승인된 G.698.3 표준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해 통신사업자가 차세대 통신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하게 링크 열기
박영주(패배하지않는눈물) 님이 파일을 전송합니다.

보기 열기 악성코드 검사 후 열기
폴더열기 받은 파일 목록 메일에 저장

박영주(패배하지않는눈물) 님의 말 :
‘2G 종료’ 2심 법원 ‘이번엔 KT 勝’
서울고법 행정7부 “2G 종료 공익 부합”

KT가 2G를 종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항소심에서 법원이 KT 손을 들어준 데 따른 것이다. 1심에서는 법원이 2G 종료 중단을 결정한 바 있다.

서울고법 행정7부(곽종훈 부장판사)는 26일, 원심을 뒤집고 KT 2G 서비스 종료 중단을 요구한 KT 2G 사용자들의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1심과 달리 KT의 2G 서비스 중단이 2G 이용자들에게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준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결했다. 또 이용자 수 10만명에 불과한 2G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새 기술방식을 전환하지 않는 것은 공익에 위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법원 판결이 확정될 경우, KT는 예정대로 2G 서비스를 종료하고 4G LTE 서비스 제공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2심 판결에 대해 2G 사용자들은 법원이 위법을 묵인했다며 폐지승인 취소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법원에 낸 것으로 알려졌다.

(Visited 46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