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제안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기능 모델(Suppl 17 to Y.2200-series, Functional Model of a Service Overlay Network framework which uses NGN.)’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
한국정보화진흥원(NIA·원장 김성태)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기능 모델’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12일 밝혔다.
?
이에 따라 이용자 요구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차세대 유무선 융합 서비스의 표준화 주도권 확보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 기술은 차세대 초고속 네트워크(NGN) 환경에서 네트워크 특성 및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 부가 서비스 기능이 이용자와 서비스 사업자의 요구에 맞도록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제공, 이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모델을 능동적으로 생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 관련 요구사항을 규정했다.
?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기능 모델’ 권고는 한국정보화진흥원정희창 연구위원(라포처)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일영 교수(에디터)가 주도해 지적소유권을 다수 보유한 NGN 표준의 부속서다.
?
정 연구위원과 정 교수는 “본 표준안은 우리나라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네트워크 및 미래네트워크 상에서 제3의 서비스 사업자 혹은 이용자 그룹 등이 차세대 개방형 응용 서비스 기능 확대를 위해 많이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Visited 33 times, 1 visits to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