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료 1000원 인하’ SKT 9월 도입(종합)

      ‘기본료 1000원 인하’ SKT 9월 도입(종합)에 댓글 닫힘

정부가 태스크포스(TF)까지 꾸려 마련했던 요금인하 안이 결국 ‘기본료 1000원 인하’와 ‘무료 문자 50건’ 등으로 귀결됐다. 이통사는 막심한 손실을 감수한다는 입장인 반면, 소비자들은 ‘생색내기’라고 밝혀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SK텔레콤은 2일, ‘기본료 1000원 인하’ 등 요금인하 방안을 발표하고 6월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이와 관련, 물가안정 및 국민의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해 통신요금 TF 결과와 아울러 그동안 인가 사업자(SKT)를 중심으로 협의를 거쳐 마련한 이동통신요금 인하방안을 발표한다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이번에는 인가사업자(SKT)의 방안이 발표됐지만, 향후 타사업자도 시장경쟁상황 등을 고려해 자사의 인하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방송통신위원회 재인용

SK텔레콤이 시행하는 요금인하 방안에는 ▲전체 고객 기본료 월 1천원 인하 ▲전체 고객 대상 문자메시지(SMS) 월 50건 무료 제공 ▲고객별 이용패턴에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폰 요금제’ 도입 ▲통화량이 적은 고객을 위한 선불이동전화 요금 인하 ▲초고속인터넷 및 IPTV 결합상품 혜택 강화를 통한 유선 통신비 절감 등이 포함됐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는 정부의 서민 물가안정 대책에 적극 호응한 결과로, 연간 7480억원 규모의 가계 통신비 경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1인당 절감액은 연간 2만 8000원(4인 가구 기준, 연 11만4천원)이다.

먼저 오는 9월부터 모든 고객의 기본료를 요금제에 상관 없이 월 1천원 인하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기본료 월 1천원 인하 시행에 따라 연간 약 3120억원 규모의 요금인하 효과를 예상했다.

같은 달부터 모든 고객에게 월 50건의 SMS 무료 제공도 시작된다. 이에 따른 요금인하 효과는 연간 약 1770억원 규모로 예상했다. SMS를 모든 고객에게 기본 제공하는 것은 외국에서도 유례가 없는 것이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고객별로 다양한 이용패턴에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폰 요금제’도 오는 7월부터 도입된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080억원 규모의 요금인하 효과를 회사측은 예상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사용하는 음성과 데이터 사용량을 고려해 본인에 맞게 음성/데이터 정액 요금을 선택할 수 있고, 음성/데이터 합산 금액을 기준으로 요금할인을 적용 받을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
또한 고객은 SMS를 원하는 경우에 옵션 사항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모든 고객에게 제공되는 월 50건의 무료 SMS가 충분한 고객이라면 굳이 SMS 정액 요금을 별도로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오는 7월부터 통화량이 적은 고객을 위해 선불이동전화 요금을 현재 1초당 4.8원에서 4.5원으로 6.3% 인하(PPS 일반요금제)하는 등 3종의 선불 요금을 인하키로 했다.

또한 SK텔레콤은 오는 7월 통화요금을 1초당 2.6원~3.0원까지 낮출 수 있는 선택요금제 2종을 새로 출시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선불 요금 인하 및 신규 요금제 출시를 통해 선불이동전화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연간 약 160억원 규모의 통신비 절감효과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이외 SK텔레콤은 6월부터 월 2만원의 파격적인 요금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다이렉트’ 상품을 SK텔레콤 유통망에서 편리하게 가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스마트다이렉트’ 상품에 가입하는 고객은 월 2만5천원 수준인 일반 초고속 인터넷 상품(3년 약정, 100MB급)과 동일한 서비스를 20% 할인된 월 2만원에 이용할 수 있다.
?
또한 ‘스마트다이렉트’와 IPTV(B tv)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는 IPTV 요금을 2천원 추가 할인(월 1만원→8천원) 받을 수 있다.
?
SK텔레콤은 이를 통해 연간 약 350억원 규모의 유선 통신비 인하효과를 전망했다.

SK텔레콤 서진우 플랫폼 사장은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에 적극 협력해 이번 대규모 요금인하를 단행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방통위는 앞으로도 통신요금 TF활동 결과인 ‘이동통신 요금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방안’을 토대로 재판매 사업자(MVNO)시장 진입, 블랙리스트 제도개선 등을 통해 통신비 부담 감경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Visited 64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