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은 ‘IoT Week’의 주 행사로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IoT 국제전시회’에서 30부스(약 90평) 규모의 단독 부스를 마련해 IoT Infra · Home · Store · Factory · Farm 등 5개 분야에서 총 13개의 아이템을 선보인다. /사진=SK텔레콤
셀룰러뉴스 황규원 기자 = 국내 이통3사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는 ‘2015 사물인터넷 진흥주간’(이하 ‘IoT Week’)에서 IoT 전용망 기술 시연 등 IoT 가치사슬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를 선도하기 위한 다양한 경쟁 기술 및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IoT Week(10/26~30, 서울 코엑스 등)’는 국가의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이자 창조경제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한 IoT를 활성화하고 및 국가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행사이다.
이번 행사의 총괄 주관기관인 한국사물인터넷협회 회장로서 SK텔레콤은 이번 전시를 통해 IoT 전용망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Low Power Wide Area Networks, LPWAN)’을 최초로 시연할 계획이다.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은 통신 반경이 수십km로 넓고, 전력 소모가 적어, 단말 배터리 수명이 수년간 유지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저렴한 단말기 비용과 회선 사용료를 기반으로 ▲가스 · 수도 등 계량 ▲자전거 · 반려동물 등 추적 ▲온도 · 습도 등 모니터링/제어 등의 정보를 원하는 고객에게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향후 다양한 관계자들이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을 활용해 단말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각종 산업 영역에서 저비용으로 혁신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SK텔레콤 측은 밝혔다.
또한 SK텔레콤은 누구나 쉽게 I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방형 IoT 플랫폼 ‘Thingplug’를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도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인다.
▲언제 어디서나 가스 사용량과, 미터기/통신망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무선 원격검침 솔루션 ▲나무의 생장환경을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지능형 수목관리 솔루션 ‘스마트 포레스트’ 등은 ‘Thingplug’ 플랫폼을 통해 개발된 솔루션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전시를 통해 집 · 가게 · 공장 · 농촌 등에 적용된 IoT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으로, ‘Thingplug’가 개발자들이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SK텔레콤은 전시 부스 내 별도의 창조경제 데스크를 설치하여 중소/벤처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IoT 기술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정부 출연연구소에 전달해 향후 개발될 IoT 기반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KT는 olleh GiGA IoT Alliance / 산업 IoT / 홈 IoT 3개 존을 중심으로 물류, 농업 등 산업 분야부터 가전, 생활용품 등 생활에 친근한 아이템에 적용된 다양한 솔루션을 보여준다.
GiGA IoT Alliance존에서는 누구나 쉽고 빠르게 IoT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 ‘GiGA IoT Makers’를 시연하며, 사물인터넷 관련 아이디어나 기술을 개발/검증/상용화하는데 필요한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GiGA IoT 사업협력센터’를 소개한다.
또, 수면상태를 측정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수면안대 ‘Sleep Sense’와 안면인증을 통한 간편결제로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FaceAuth’솔루션 등 GiGA IoT Alliance 회원사이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육성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서비스를 체험해볼 수 있다.
산업 IoT존에서는 IoT와 위성관제기술을 접목한 ‘컨테이너 추적 보안관제 시스템’과, 위험물 운송차량의 도로 위험도를 미리 알려주고 사고 시 자동으로 인식해 즉시 대응해주는 ‘위험물 안전운송 통합관리 시스템’ 등 IoT 기반 물류 혁신 모델을 제시한다. 아울러 온실 내부의 온도/습도 등의 빅데이터를 기반한 ‘스마트팜’은 실제 온실모형을 설치해 관람객들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홈 IoT존에서는 모바일 앱 형태의 가정용 HD급 CCTV ‘olleh GiGA IoT 홈캠’과 스마트폰으로 도어락, 가스밸브 등 생활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작동시키는 ‘olleh GiGA IoT홈매니저’도 체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실내 공기질을 측정해 공기청정기를 작동하는 솔루션과 NFC 기반 개인 맞춤형 정수기를 함께 선보여 IoT로 한층 스마트해진 홈 라이프를 제시한다.
LG유플러스는 코엑스 3층(D 홀)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약 90여평 규모의 IoT 전시관을 마련하고, U+스위치, 플러그, 열림감지센서, 가스락, 허브 등의 홈 IoT서비스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산업 IoT 서비스도 대거 소개한다.
홈 IoT 서비스 부문에서는 U+도어락이 첫 선을 보인다. U+도어락은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으로 문을 열 수 있는 서비스로 IoT@home 앱을 통해 원격으로 문이 닫혀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등록된 카드키를 사용하면 스마트폰으로 알려줘 가족의 귀가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외부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알려주는 보안 기능도 포함됐다.
특히 홈 IoT 전시관에서는 현관문을 열면 안방의 전등이 켜지고, 보일러가 켜지거나, 거실의 TV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등의 자동실행모드를 시연해 관람객에게 IoT로 편리해지는 생활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 IoT 분야에서는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장비나 시설물을 관리하고, 긴급 장애 상황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U+Biz 라이브컨트롤’을 처음 선보인다. 이는 산업 현장과 사회 기반시설은 물론 국가적인 재난 상황이나 건설 현장 등 사회 전반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와 함께 LTE망과 RFID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U+Biz 스마트크린’ ▲학교 급식 위생관리 솔루션 ‘U+Biz 스마트프레시’ ▲유선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도 LG유플러스 LTE망을 통해 인터넷 및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U+ LTE라우터’ 등 LG유플러스의 다양한 상품도 전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