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차량간 통신기술’ 개발?시연

      ETRI, ‘차량간 통신기술’ 개발?시연에 댓글 닫힘

ETRI가 스마트 하이웨이 실현을 위한 ‘차량간 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의 핵심기술인 ‘멀티홉 방식의 차량간 통신 기술’(이하 VMC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지식경제부의 IT융합 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지난 4년간 총 136억원을 지원받아 이뤄진 것으로, 관련 핵심 특허 확보와 상용 수준의 통신칩 개발도 완료됐다고 ETRI는 덧붙였다.

VMC 기술 개념도

이번 VMC 기술은 차량간 실시간 무선통신을 통해 앞 차의 사고 등 돌발 상황을 뒤따라오는 차에 직접 전달, 연쇄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 텔레매틱스 기술이다. 또한 내비게이션과 연동 시 교통 정체 없는 빠른 길 안내, 차량 고장 원격 점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ETRI에 따르면, 특히 VMC 기술은 차량간 직접 통신이 가능해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응답시간이 100m/sec 이내로 짧기 때문에 차량 안전과 첨단 교통시스템 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또 무선랜 방식에 비해 최대 200km/h의 고속 이동 중에도 교신이 가능하며, 국내 하이패스에 사용하고 있는 DSRC 기술에 비해 10배의 전송능력과 통신가능거리도 1km까지 확장돼 차세대 하이패스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ETRI는 이번에 개발한 VMC 기술을 한국도로공사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과 경찰청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등 공공 교통시스템에 우선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량 내 대표적 무선통신 단말기인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태블릿PC 제조업체와 연계해 해당 제품에 VMC 기술을 탑재시킬 예정이다.

이럴 경우 차량 운전자는 고속 이동 중에도 차 안에서 전방도로의 CCTV 영상정보, 인터넷 등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ETRI는 이번 기술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실내?외 시험 및 시연을 이미 마쳐 조기 상용화를 자신하고 있다. 아울러 개발 기술에는 상용 수준에 가까운 통신칩도 포함돼 있어 의미가 크다고 ETRI는 강조했다.

‘E-WAVE 통신칩’으로 불리는 이 칩은 개발 초기부터 자동차 생산업체, ITS 수요기관 등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WAVE 국제 표준 규격을 수용함으로써 산업 활용성을 높였다는 게 ETRI 설명이다. 또 0.18μm CMOS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칩을 13x13mm 크기로 초소형화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성공했다.

오현서 ETRI 자동차네트워킹연구팀장은 “이번 VMC 기술 개발은 우리나라가 현재 추진 중인 스마트 하이웨이 시스템 및 첨단 교통시스템 실현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교통 정체와 교통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 교통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Visited 12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