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1000만 시대 ‘드디어’

      스마트폰 1000만 시대 ‘드디어’에 댓글 닫힘

'드디어'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1000만명을 넘었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3일 기준 1000만명을 돌파했다. 아이폰 도입에 따른 결과물로, 국내에서도 본격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했다.

24일 방통위와 이동전화업계에 따르면, 2009년말 80만명에 불과했던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그해 11월 ‘아이폰’의 도입으로 급 물살을 타, 약 1년 4개월만인 이달 23일 1002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2000만명 이상을 돌파도 무난할 전망이다.

미국, 유럽 등에서는 이미 2007년부터 스마트폰 도입 활성화가 이뤄졌으나, 국내는 보급이 비교적 늦은 편이었다. ‘우물안 개구리’ 전락이 우려되는 시점에서 지난 2009년 11월 애플 아이폰이 도입됐으며, 이후 스마트폰 보급이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2008년 12월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 ‘위피’ 탑재 의무 폐지 등 규제 완화 역시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방통위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가입자 중 20~30대 가입자 비율이 60% 이상을 차지해, 일반 휴대전화의 20~30대 비중(30%)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스마트폰 가입자의 84%가 스마트폰용 정액 요금제에 가입했으며, 5만5천원 이상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가입 비율도 52%에 달한다.

스마트폰 가입자 확대는 무선 인터넷 사용량 증가로 이어졌다. 2010년 1월 기준 449TB였던 데이터 트래픽은 2011년 1월 기준 5463TB로 11배 이상 증가했고, 트래픽 중 스마트폰이 쓰는 양이 91%인 4985TB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와이파이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분산 효과를 톡톡히 한 것으로 나타냈다. 지난 1월 기준 무선랜 트래픽은 2785TB로, 휴대폰에서 생긴 트래픽의 1/3 정도를 해소했다.

반면,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른 통신비 지출 증가는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됐다.
?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통신서비스 지출은 13만6682원으로 전년보다 4.8% 증가했다.

지난 2004년 4.3%를 기록한 이후 매년 3% 미만이던 증가율 또한 2009년 0.7% 감소에서 작년 크게 급증했다. 이동전화 요금 증가에 따른 것으로, 가구당 월 평균 이동전화요금 지출이 2009년보다 8% 늘어난 10만3000원으로 처음으로 10만원을 넘어섰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데이터 사용 급증으로 인한 ‘통화 끊김’ 현상도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된다. 통화품질 불량을 비롯, AS 지연, 프로그램 버그 불량 등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호소하는 대표적 불만사항이 된지 오래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보안 역시 개인 생활 침해 등을 이유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초읽기’

(Visited 46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