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C는 적극적인 AS정책을 통해 외산 스마트폰에 대한 일부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 고객만족도를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먼저 HTC는 메인보드 등 모든 주요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국내에서 가능하므로, 부품 부족을 이유로 1∼2주 이상 지연되는 경우가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무상보증기간은 국내 제품보증 규정에 따라, 단말기는 구매일로부터 12개월, 배터리는 6개월이다.
HTC는 또 오는 30일부터 AS센터를 기존 30개에서 100개로 확충한다. 현재 홈페이지(www.htc.com/kr)와 콜센터(1588-3220), 전국 2000여 개 SK텔레콤 대리점 및 지점을 통한 SKT 배송 AS 서비스가 제공중이며, KT와도 KT 대리점 배송 AS에 대해 논의중이라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한편, HTC는 해외 출시 제품에는 없는 추가 배터리(기본 배터리 1개 외)와 배터리만 분리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 거치대를 새롭게 제작,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TC는 지난 5월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 ‘디자이어’와 6월 윈도모바일폰 ‘HD2’를 각각 출시했다.
HTC 백상진 마케팅 팀장은 “HTC는 제품뿐 아니라 사후서비스에도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방면에서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국내 소비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Visited 38 times, 1 visits to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