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가입자는 ‘T맵’이 무료

      SKT 가입자는 ‘T맵’이 무료에 댓글 닫힘

SK텔레콤의 휴대폰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이 무료로 제공된다.

SK텔레콤(대표 정만원 www.sktelecom.com)은 올해 말까지 ‘T스토어’ 회원을 대상으로 휴대폰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 1년 무료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SK텔레콤 가입자는 누구나 T스토어 가입이 가능할 수 있어 GPS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고객 500만명이 이 혜택을 입게 된다.

“내비게이션, 아직도 돈 내고 쓰세요?”

SK텔레콤은 이번 ‘T맵’ 무료화를 계기로 기존 정액요금제(월 5천원) 매출 중심의 단순 사업모델에서 벗어나 이용자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광고 등으로 T맵 수익모델을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또 SK텔레콤은 올 3분기 중 T맵 관련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응용프로그램 환경)를 외부에 개방, 일반 개발자들이 T맵을 기반으로 풍부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휴대폰 이용자가 택시콜, 택배 서비스 이용 시 자신의 위치를 업체에 따로 설명할 필요 없이 ‘T맵’을 통해 간단히 업체 측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3분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고객은 T스토어 홈페이지(www.tstore.co.kr)에서 ‘T맵’ 무료 이용을 신청하면, ‘T맵’ 내비게이션 기능 중 가장 인기 있는 길안내(운전, 도보, 대중교통)와 주변보기 기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T맵’ 이용시 발생하는 데이터통화료도 무료다.

본인 휴대폰의 ‘T맵’ 이용 가능 여부는 ‘T맵’ 홈페이지(www.tmap.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SK텔레콤 이진우 데이터사업본부장은 “향후 위치 서비스에 기반한 다양한 제휴사업 및 광고사업을 통해 T맵을 마케팅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모델을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최근 T맵에서 삼성카드 가맹점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한편, ‘T맵’은 2002년 ‘네이트 드라이브(NATE Drive)’로 출발, 2007년 ‘T맵’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작년 말 76만 명이었던 T맵 가입자 규모는 5월 현재 120만 명으로 약 5개월 만에 58% 증가했다.

현재 GPS 기능이 장착돼 ‘T맵’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는 약 500만대이며, 이 중 50%인 250만 명이 ‘T맵’ 이용 경험이 있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또 올해 GPS기능이 장착된 일반폰 및 스마트폰 약 300만대 보급이 예상됨에 따라, ‘T맵’ 이용 고객 숫자는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Visited 2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