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플래닛은 실내 위치 정보 기술 부문 글로벌 선도업체인 인도어아틀라스(IndoorAtlas)와 글로벌 O2O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22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서성원 SK플래닛 사업총괄(사진 왼쪽 네번째), 얀 하버리넨 인도어아틀라스 CEO(왼쪽 다섯번째, Janne Haverinen), 김진우 SK플래닛 글로벌사업개발실장(왼쪽 세번째), 션 류 인도어아틀라스 매니저(왼쪽 여섯번째, Sean Ryu), 비베 바하만스 인도어아틀라스 부사장(왼쪽 일곱번째, Wibe Wagemans), 손민지 SK플래닛 매니저(왼쪽 첫번째), 김성민 SK플래닛 매니저(왼쪽 두번째)가 참석했다.
셀룰러뉴스 장현실 기자 = SK플래닛이 자기장 기반의 실내 측위 기술을 확보하고 O2O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섰다.
SK플래닛은 22일, 실내 위치 정보 기술 부문 글로벌 선도업체인 인도어아틀라스(IndoorAtlas)에 약 30억원(US$ 3백만불)을 투자하고 글로벌 O2O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도어아틀라스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건물 내부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술을 보유한 신생기업(Start-up)으로 2012년 얀 하버리넨(Janne Haverinen) 핀란드 울루(Oulu)대학 교수와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했다.
중국 최대 검색 서비스 업체 바이두(Baidu) 역시 새롭게 뜨고 있는 O2O 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해 100억을 투자하고, 인도어 아틀라스 기술의 중국 내 독점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플래닛의 이번 투자 및 업무 제휴는 지난해부터 국내외에서 전개해온 O2O 사업의 기술력 강화를 통해 시럽의 서비스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도어 아틀라스 기술의 한국 내 독점 사용권을 포함하고 있다.
인도어아틀라스가 개발한 실내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은 건물 내 철조 구조물의 자기장 왜곡을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로 인식해GPS가 미치지 않는 실내에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별도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 없으며, 2미터 이내의 정확한 실내 측위가 가능해 실내 내비게이션, 위치인식 모바일 검색, 위치기반 광고 등 다양한 O2O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받는다. 현재 미국, 일본 및 아시아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 중에 있다.
SK플래닛은 이 기술을 활용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표 O2O 서비스 ‘시럽’의 서비스 정확도를 개선하고,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복합쇼핑몰 전용 서비스 ‘시럽 가이드’ 적용은 물론 해당 기술을 필요로 하는 타 사업자들에게도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SK플래닛의 서성원 사업총괄은, “일상 생활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현대인들에게 인도어아틀라스가 제공하는 실내 위치 정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며 “향후 SK플래닛이 제공하는 O2O서비스에 기반기술로 적용하여 고객분들께 보다 진일보한 쇼핑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참고 동영상
1) 기술 시연
2) 기술 Demo
3) 적용 상품 proximity 광고
4) 적용 상품 시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