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박세환 기자 = 이제는 휘는 디스플레이다.
LG디스플레이(대표 한상범)는 7일, 스마트폰용 플렉서블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개발을 완료하고, 세계 최초로 양산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모바일용 OLED 패널로는 최대 크기인 6인치로 글래스(Glass)가 아닌 플라스틱(Plastic) 기판이 적용됐으며, 위아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곡면타입(Curved)의 제품이다.
플렉서블 OLED는 플라스틱 재질의 TFT(박막트랜지스터)와 필름 형태의 봉지기술 적용을 통해 패널 제조공정을 완성한 후, 글래스 대신 보호필름을 부착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잘 깨지지 않는다.
기존에 선보였던 LCD나 OLED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등의 침투를 막기 위해 상판과 하판을 글래스로 합착, 밀봉해야 했기 때문에 무겁고 깨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LG디스플레이는 시장과 고객의 니즈에 맞춰 세계 최초로 플렉서블 OLED를 개발해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LG디스플레이가 세계최초로 제품화에 성공, 양산에 들어가는 플렉서블 OLED는 글라스가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적용해 바나나처럼 위아래로 오목하게 휘어진 곡면타입의 제품이다.
기존 스마트폰이 천편일률적인 직사각형의 평면 디자인이었다면 이 제품은 위아래로 반경 700mm 가량 오목하게 휘어져 있어 스마트폰에 새로운 디자인 혁명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자사 플렉서블 OLED가 글래스 기판 대신 여러 개의 얇은 필름이 적층된 형태이기 때문에, 6인치의 대화면이지만 0.44mm 두께(글래스 제품의 1/3 수준)로 세계에서 가장 얇고 7.2g의 무게로 가장 가볍다고 강조했다. 또한 휴대 중 떨어뜨리거나 외부의 충격이 있어도 잘 깨지지 않아 더욱 실용적이다.
LG디스플레이는 향후 깨지지 않으면서도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벤더블(Bendable) 제품도 빠른 시일 내 선보이며 플렉서블 기술을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한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과 종이처럼 완전히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까지로 진화시켜 생활 속 혁신을 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여상덕 부사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과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빠른 시일 내에 모바일 기기는 물론 안정성(Safety)이 중요한 자동차 내장 디스플레이, 태블릿 및 와치(Watch) 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LG디스플레이는 차별화된 기술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인 HIS 디스플레이뱅크는 전세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6년 1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2019년이 되면 1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