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자사의 LTE가입고객이 31일 오후 6시 기준 100만명 돌파를 예상한다고 31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전세계 이통사 중 22번째로 4G LTE를 상용화 했지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객을 유치해, 고객 100만 명 돌파까지 8개월이 걸린 버라이즌, 12개월이 걸린 NTT도코모의 기록을 넘어 최단기간 100만 고객 돌파 기록을 세웠다.
현재 LTE고객 100만 명 이상을 확보한 LTE서비스 사업자는 SK텔레콤, 美 버라이즌, 日 NTT도코모 뿐이다.
SK텔레콤의 4G LTE고객은 지난해 9월 28일 4G LTE스마트폰 첫 출시 후 77일 만에 5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후 49일 만인 1월 31일 100만 가입자를 돌파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25일 이후에는 일 평균 2만 명이 LTE를 선택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와 관련 획기적으로 진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더욱 편리한 모바일 라이프를 즐기려는 고객 욕구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SK텔레콤의 무선망 운용 기술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설명했다.실제로 LTE가입 고객 1,255명을 대상으로 ‘4G LTE 구매 고려요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4%(677명)가 ‘LTE의 무선인터넷 품질’을 꼽았다.
이 같은 결과는 최신 LTE스마트폰(22%), LTE특화서비스(11%), 가격-요금제(10%) 등 다른 요소보다 더 빠르고 쾌적한 무선인터넷 이용 욕구가 LTE를 선택한 핵심 요소라는 점을 증명한다.
SK텔레콤 배준동 사업총괄은 “SK텔레콤은 LTE의 뛰어난 데이터 속도에 더해, 완성된 LTE고속도로에 고객들이 더욱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발 앞선 LTE 특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해 ‘고객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앞서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은 LTE 100만 가입자 돌파를 기념해 2월 1일 오전10시부터 오후 12시까지 자사 LTE고객들에게 최신 영화 VOD 1편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펼친다.
참여를 원하는 고객은 SK텔레콤 공식 온라인 판매 사이트인 T 스마트샵(www.tsmartshop.co.kr)의 이벤트 참여 후 무료영화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LTE가입고객 100만 명 확보에 성공한 것을 계기로, 다양한 LTE 활성화 방안인 ‘생활가치 혁신 프로그램’을 통해 내달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생활가치 혁신 프로그램’은 교육?가정?여가?직장 등 고객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에서 LTE를 통해 더욱 윤택하고 풍요로운 모바일 라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LTE 차별화 전략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작년 10월 4G LTE 대중화에 대비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수십 만 LTE가입고객의 사용 성향 및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가치 혁신 프로그램’을 준비해왔다.
‘생활가치 혁신 프로그램’을 통해 금년 말까지 500만 LTE고객을 달성할 계획이다.
‘생활가치 혁신 프로그램’이 가장 먼저 적용될 분야는 스마트 교육이다. 우선, ‘T스마트러닝’의 우수 교육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LTE팅 요금제’를 2월 중 출시할 예정이다.
4G LTE 가입고객이 이용하는 전체 데이터 트래픽 중 멀티미디어가 69%를 차지하는 점에 주목하고, 고객이 부담 없는 가격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LTE FUN 특화 상품’도 2월 출시할 예정이다.또한, 노년층(만 65세 이상) 고객이 최저 수준 월 정액료로 LTE를 사용할 수 있는, ‘LTE골든에이지’ 요금제를 오는 3월 업계 최초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 요금제는 노년층의 가족?지인에 대한 음성 및 영상통화 사용 비중이 비노년층 대비 높다는 점에서 착안해, 음성통화 및 HD고화질 영상통화를 대폭 무료로 제공한다.
이와 함께 모바일 생태계를 정화하고, 유해 콘텐츠로부터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유해콘텐츠?사이트,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 서비스인 ‘모바일 안심 상품’도 업계에서 가장 앞서 오는 3월 출시한다.
노년층이 보이스피싱 위험에 특히 취약한 점을 고려해, SK텔레콤은 ‘LTE골든에이지’ 요금제에 신규 가입하는 고객에게 ‘보이스 피싱 보험’을 1년간 무료로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