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일 오후 12시 북한 김정일 위원장 사망보도 관련 사이버 공격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오후 2시에 사이버 위기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사이버위기 경보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킹, 디도스(DDoS) 등 인터넷 침해사고 가능성에 대비해 디도스 공격용 악성코드 출현, 웹 변조, 이상 트래픽 증가 등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피해확산을 신속히 방지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관제를 실시하는 한편 유관기관, ISP, 백신업체 등과 긴밀한 공동대응체제를 구축해 유사시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청와대, 국회 등 정부의 주요기관 웹사이트 및 주요 커뮤니티, 언론사 등 민간 주요 웹사이트를 목표로 하는 악성코드 유포와 디도스 공격 등 사이트 접속장애 여부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침해사고 발생 시 해당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키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자신의 PC가 디도스 공격을 유발하는 좀비PC가 되지 않도록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이메일(특히 김정일 사망보도 관련 내용 포함) 등을 열람하지 말고, 윈도와 백신프로그램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 주길 당부했다.
한편, 기술적인 지원 또는 도움이 필요한 인터넷 이용자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 홈페이지(www. boho.or.kr)를 방문하거나, KISA e콜센터(118)에 전화해 전문 상담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방통위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위원회 차원에서 이날 12시 30분부터 위기종료시까지 비상계획관 등 9명으로 구성된 초기 대응반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통신3사에 비상대비 지침을 하달했으며, 트래픽 폭주 등 통신망 장애와 돌발상황 대비 비상연락망 점검 등 보안조치를 취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여러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비상상황 발생시 통신3사 협력해 즉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