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회장 이석채)와 시스코(회장 존 챔버스), 인천광역시(시장 송영길)는 22일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Incheon Free Economic Zone, 이하 IFEZ)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민관협력법인 설립 협약을 체결했다.
협력법인은 국내 통신사와 글로벌 IT기업, 지자체 각각의 역량을 결합해 동북아 지역 비즈니스 중심지로 최적의 조건을 보유하고 있는 IFEZ를 첨단 스마트 시티로 개발하게 된다.
?
이 회사의 총괄경영은 KT와 시스코가 함께 설립하는 스마트 스페이스 전문회사 ‘kcss’가 맡는다. IFEZ 스마트 시티 구축사업에 kcss가 참여하게 되면서 인천시와 함께 송도지구 내에 현지 거점을 운영하는 형태며, 내년 4월 이내에 공식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 자본금은 35억 원 규모로, kcss와 인천시가 공동으로 출자한다.
스마트 스페이스는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광대역 통합망 등의 기술로 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사업이다. 기존의 U-시티에 ‘지능화’와 ‘모바일화’ 개념을 추가했다. 공간 구축 첫 단계부터 ICT 설계를 적용해 빌딩과 공원, 도시 전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활기반시설의 가치를 높인다.
kcss는 KT와 시스코가 공동 설립하는 스마트 스페이스 전문회사로서, 내년 1월 중 출범 예정이다. 국내에 본사를 두고 사업 수주 현황에 따라 현지 거점을 운영하는 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사업 규모에 따라 현지 업체와의 계약 또는 별도의 특수목적회사를 만들어 구축공사 및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식이다.?

KT와 시스코, 인천시가 22일, 스마트 시티 구축에 협력한다. KT 이석채 회장과 송영길 인천시장, 시스코 아닐 메논 S+CC 및 글로벌라이제이션 총괄사장(왼쪽부터)이 22일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민관협력법인 설립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협력법인이 수행하게 되는 주요 사업은 IFEZ 스마트 시티의 설계/구축/운용 등이다. 사업분야는 크게 공공사업과 민간사업으로 나뉜다. 공공사업은 도시 전반에 대한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과 통합관제센터 구축을 비롯해 교통/방범/방재/환경/시설물 관리 등을 ICT 기술로 운영/제어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지역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시민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포털 및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할 예정이다.
?
민간사업은 지능형 빌딩관리/주차관리/보안관리/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주력할 계획이며,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사업 영역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
KT는 IFEZ 사업을 통해 시민 모두가 스마트 라이프를 향유할 수 있는 미래형 도시 모델을 제시하는 한편,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스마트 스페이스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
KT 이석채 회장은 “이번 협업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보다 의미 있게 탈바꿈 시켜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아울러 IFEZ가 스마트 시티의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스코 아닐 메논(Anil Menon) S+CC 및 글로벌라이제이션 총괄사장은 “미래도시 구현이라는 비전의 현실화 작업을 인천시와 함께 협업할 수 있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송영길 인천시장은 “민관협력법인이 IFEZ 사업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진행해 대시민 서비스 만족을 높여 주길 기대한다”며, “나아가 향후 인천 전역은 물론 국내 및 해외 스마트 시티 사업에도 다각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