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6월말 기준 인터넷전화 가입자가 1000만명(1009만)을 넘어섰다고 4일 밝혔다.
인터넷전화는 정부가 지난 2004년 10월 기간통신역무로 고시해 이를 제도화한 이후, 2005년 7월 KT 등 7개 기간통신사업자가 인터넷전화역무를 취득하고 2006년부터 서비스를 본격 개시했다.
서비스 초기에는 통화품질이나 070 식별번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으로 시장이 활성화 되지 못해 2007년말 인터넷전화 가입자 수는 61만 명으로 전체 유선전화 시장의 3%에도 못 미쳤다.
이후 2008년 10월 방통위가 요금인하와 서비스 품질개선 등 이용자의 편익을 제고하기 위해 ‘인터넷전화 번호이동성 제도’와 ‘긴급통신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가입자가 급증했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기존 집전화 번호를 인터넷전화에서도 사용케 한 ‘번호이동성 제도’ 시행 이후, ’08년말에 248만 명이던 가입자가 ’09년말 666만 명, ’10년말 914만 명으로 확대됐고, 지난 6월말 1000만명을 돌파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 유선전화에서 인터넷전화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6년 1.4%에서 2010년말 현재 32.2%로 크게 증가했으며, 시장 규모(매출액 기준)도 2008년 2542억원에서 2010년 8370억으로 3배 이상 늘어났다.
방통위는 올 연말 인터넷전화 가입자가 11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방통위는 앞으로도 인터넷전화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인터넷전화 활성화를 통해 국민의 통신요금 부담이 경감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 KT는 지난 2월 인터넷전화 분야에서 LG유플러스를 제치고 1위 사업자로 올라서면서 집전화와 인터넷, IPTV 등과 더불어 유선통신서비스 전 분야에 걸쳐 시장점유율 정상에 등극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6월 국내 인터넷전화 사업자 최초로 300만 가입자를 돌파했고, 이는 집전화(PSTN, 공중교환전화망)와 번호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인터넷전화 시장이 본격화된 지난 2008년 이후 약 3년만이라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KT는 인터넷전화 1위 원동력으로 ▲다양한 단말기 라인업 ▲고품질의 네트워크와 A/S ▲저렴한 이용요금 ▲소호(SOHO) 매장의 변화를 꼽았다.
앞으로 KT는 하반기 스마트홈패드 출시 등 기존 음성중심이었던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스크린, 콘텐츠 중심으로 그 영역을 확장시켜나갈 방침이다.
▶기사 업데이트: 인터넷전화 가입자 1000만 돌파 관련, KT 입장을 추가했습니다.(13: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