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A폰 GPS 교란 걱정마세요”

      “CDMA폰 GPS 교란 걱정마세요”에 댓글 닫힘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외부의 GPS전파 교란시에도 안정적으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완료, 4월중 SK텔레콤의 모든 CDMA 시스템에 적용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기술 개발은 지난 3월 초 발생한 GPS 교란으로 일부 2세대(CDMA) 휴대전화 통화 장애 현상을 겪은 데 대한 대응이다. 회사측은 이후, 신속하게 사내 TF(Task Force)를 구성해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퀄컴

GPS 전파 교란은 GPS 수신기를 이용해 통신 신호를 동기화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휴대전화의 통화품질에만 영향을 미친다. 이른바 ‘동기식’ 이동통신인 CDMA 방식에서는 이용자가 한 기지국 커버리지에서 기지국 커버리지로 이동할 때, 기지국 구분을 특정 코드의 시간 차이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모든 기지국의 시계가 동일하게 ‘동기화’ 돼있지 않으면 제대로 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CDMA 기지국의 시계는 GPS위성을 이용해 전국의 모든 기지국이 동일하게 맞춰진다.
?
반면 ‘비동기식’인 3G WCDMA의 경우 각각의 기지국을 다른 코드를 사용해 구분하기 때문에, 기지국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아 GPS를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CDMA서비스 가입자는 대략 SK텔레콤이 970만 명이며, 타사 이용자까지 합치면 약 2000만 명에 이른다.
?
이번에 SK텔레콤이 개발한 기술은 GPS 전파 교란 시 GPS 시간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GPS 신호 오류가 감지되는 즉시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시간 정보로 자동 전환하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4월 중 SK텔레콤의 모든 CDMA 교환기와 기지국에 이를 적용, GPS 전파 교란 시에도 통화 장애를 사전 차단할 계획이다.
?
이번에 적용되는 기술은 전송로 길이 등에 따라 1~2초 정도의 시간차가 발생해 상시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단, GPS 전파 교란 시 통화불통, 휴대폰 시각 오류, 통화음 변조 등의 불편함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어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에 유용하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SK텔레콤은 타 이통사에서 필요한 경우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해당 기술의 알고리즘을 아무런 조건없이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 박찬웅 Network운용본부장은 “이번 기술 개발로 CDMA폰 고객들은 GPS 전파 교란에도 보다 안정적인 통화품질을 누릴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도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경우 신속한 기술개발 및 대응을 통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Visited 73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