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성민 “이르면 7월 첫 LTE 상용화”

      하성민 “이르면 7월 첫 LTE 상용화”에 댓글 닫힘

수장이 바뀐 SK텔레콤이 여전히 ‘개방’과 ‘협력’을 미래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했다. 특히 ‘젊은 조직’으로서 ‘스피드 경영’ 역시 한 축으로 꼽았다. SK텔레콤의 국내 최초 LTE 상용화 시점은 이르면 7월로 제시했다.

SK텔레콤(www.sktelecom.com) 하성민 총괄사장은 12일 취임 후 가진 첫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전략방향을 ‘스피디한 실행력의 조속한 내재화’와 ‘개방형 협력(Open Collaboration)을 통한 성과의 조기 가시화’라고 밝히고, ‘스피드(Speed)’, ‘개방(Openness)’, ‘협력(Collaboration)’의 3대 경영방침에 대해 설명했다.

SK텔레콤 하성민 총괄사장은 12일 신년하례식 겸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 한 해 SK텔레콤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스피드 경영과 개방, 협력을 강조한 하 사장은 특히 이르면 올 7월 국내 첫 LTE 상용서비스를 약속했다.

하 사장은 “젊은 조직다운 스피드 경영을 통해 데이터 중심의 네트워크 고도화 및 차별적 데이터 상품과 서비스 개발, 경쟁력 있는 스마트폰 출시 확대 등을 실행하겠다”며, “이를 통해 스마트 시대에 걸맞은 강력한 유무선 통합 리더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피드 경영’의 방향성과 관련, 하 사장은 “제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진화경쟁, 대고객 서비스에서도 실질적 성과를 낳는 압도적인 스피드를 발휘하는 데 최우선 역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
SK텔레콤은 올 3분기, 이르면 7월 서울지역에 국내 최초로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인 LTE서비스를 상용화함으로써, 초고속 4세대 이동통신 시대를 열 계획이다.
?
3G 망의 우위에 더해, 초고속 와이파이 및 초소형 기지국인 데이터 펨토셀 등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병행함으로써 경쟁사와 차별화도 꾀할 예정이다.
?
동시에 하 사장은 현재와 같은 초경쟁 시대 ICT 산업의 성공 방안은 개방형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뿐이라며 ‘개방’과 ‘협력’을 역설했다.

이미 ICT 산업에 있어서 개별 기업의 내부역량만으로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나갔다는 게 하 사장의 판단이다. 이 때문에 ‘개방형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은 ICT기업 모두의 과제이자, 전 영역의 산업이 추구해야 할 시대적 흐름이라고 하 사장은 강조했다.
?
▲개발자 지원 상생혁신센터를 통한 혁신적 에코시스템 구축 ▲지난해 SNS, LBS, 메세징 등의 기반기술(API) 공유 ▲중소기업 대상 ‘Open Collaboration 지원실’ 신설 등 성과물 또한 이 일환이다.

특히, 경쟁사와의 개방과 협력에도 적극 나서, 번호이동 확대 등 소모적인 마케팅 경쟁 대신, NFC 등 신규 성장영역에서의 공동기술개발 및 인프라 투자 협력을 수행키로 했다.

하 사장은 또한 올해를 플랫폼 사업의 본격화 원년으로 국내외에서 가시적인 성과창출을 위한 실행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약속했다.

▲스마트 TV등 새로운 플랫폼 영역 발굴 ▲N스크린(N-Screen) 같은 기존 플랫폼간 연계 ▲IPE사업 확대 ▲MIV(Mobile In Vehicle) 등 새로운 사업기회 발굴 ▲T스토어의 해외진출 등은 그 대상으로 꼽혔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오픈 마켓플레이스 공용화를 추진하는 KWAC 초대위원장사로서 웹 콘텐츠 기반의 에코시스템을 폭넓게 구축하기 위한 노력은 물론, 글로벌 기반 WAC 표준을 수용해 이를 활용한 국내 개발자들의 해외진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서진우 플랫폼사장은 “향후 세계시장에서의 성장과 경쟁은 개별 회사가 아닌 에코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SK텔레콤은 전향적이고 혁신적인 개방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시장으로 나갈 수 있는 에코시스템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Visited 61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