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클라우드로 데이터 폭증 대비”

      KT “클라우드로 데이터 폭증 대비”에 댓글 닫힘

KT가 세계 최초로 무선망에 그린통신망 기술을 적용한다. 데이터 폭증 시대를 맞아 고품질 대용량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KT(대표 이석채 www.kt..com)는 무선데이터 폭증에 대응하기 위해 LG에릭슨과 협력, 그린통신망 기술인 ‘클라우드커뮤니케이션센터(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를 3G(WCDMA) 네트워크에 도입키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를 통해 트래픽 용량을 대폭 확대하는 등 프리미엄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으로, 회사측에 따르면 CCC를 3G망에 도입 운용하는 것은 전 세계에서 KT가 처음이다.

15일 수요일 아침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열린 IT CEO포럼에서 KT 무선연구소장 안태효 상무가 KT 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CCC는 기존 무선 기지국에서 하나의 장비 내에 있던 디지털신호처리부(DU)와 무선신호처리부(RU)를 분리해 DU를 별도 DU센터에 집중화하고 RU는 서비스 대상 지역에 원격 설치, DU와 RU를 광케이블로 연동하는 새로운 그린 무선 통신망 기술이다.

KT는 서울/수도권 CCC 무선망 도입을 통해 기존 방식 대비 수도권 무선망 용량이 약 1.5배 이상 늘어나 데이터 폭증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임차료와 유지보수비 등 망운용 비용을 약 9% 절감하고, 전력 소모량도 약 45% 줄여 연간 탄소배출량이 약 1만톤 이상 감소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CCC를 적용하면 소규모 상면 확보로도 기존 기지국과 같은 역할을 하는 RU 설치가 쉬워지므로 단위 지역당 무선망 용량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또한 고객은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대용량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통화품질을 체감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이와 함께 KT는 CCC 도입에 따른 비용 절감액을 관련 사업 활성화를 위해 재투자하는 등 국내 중소 협력사들의 동반 성장 방안을 지속 발굴,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출처: KT

KT는 3G망의 CCC 적용을 위해 지난 1년간 망 테스트와 기술 검토를 진행해왔으며, 와이브로 망에서는 수도권 20개시와 5대 광역시에 이미 CCC를 적용한 상용망을 구축 완료했다. 3G망 CCC는 내년 초부터 2012년까지 서울/수도권 지역에 구축하고 2012년에는 LTE 망 구축시 CCC를 적용할 계획이다.

KT는 트래픽 고밀도 지역인 수도권 지역에 CCC를 도입하되 그 밖의 지역은 기존 기지국 방식 장비를 유지 또는 재활용할 예정이다.

KT는 최근 해외에서도 무선망 운용 기술에 DU와 RU를 분리형으로 개발하고 있는 추세지만, 이번처럼 대규모 지역에 CCC 무선망을 적용하는 경우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KT 안태효 무선연구소장은 “3G망에 CCC를 KT가 세계 최초로 도입해 3W 네트워크 전략과 함께 가장 앞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갖추게 됐다”며, “‘모바일 원더랜드’를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설명

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IT의 Cloud Computing 개념(분산 처리를 집중화 처리 구조화하여 자원 및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 개념)을 응용한 DU와 RU로 구성된 무선통신망 구조. KT는 자사 최초로 도입한 용어라는 설명.

DU (Digital Unit)=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부문으로 3G, 와이브로, LTE 등의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카드로 구성되며, RU(Radio Unit)과는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동하며 교환국사에 DU 집중센터로 운영됨

RU (Radio Unit)=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으로 DU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해 안테나로 송수신하는 변환장치와 RF증폭기로 구성됨

CCC 가상화(Virtualization)=3G, 와이브로, LTE 등 다양한 무선기술을 하나의 DU에 SW적으로 적용해 다수의 DU를 하나의 DU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 DU자원의 집적화율을 높여 효율성이 향상됨

(Visited 4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