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6일(현지시간) 미국 통신사업자인 스프린트와 대규모 4G 이동통신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가 스프린트 4G 네트워크 구축사업인 ‘네트워크비전(NetworkVision)’의 장비 공급업체 중 하나로 선정된 데 따른 것이다. 스프린트는 이 사업에 앞으로 5년간 총 40억~5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장비 공급에는 삼성전자 외 알카텔-루슨트, 에릭슨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삼성전자는 이로써 미국 본토 대형 통신사업자의 기간 네트워크 통신 시장에 최초로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으며, 모바일 와이맥스 등 4G 이통통신 분야에서 리딩업체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
회사측은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뿐 아니라 관련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수출입은행 등 정부기관의 지원이 하나가 돼 성사된 것”이라며, “통신 시스템 시장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
특히, 삼성전자는 이 사업을 통해 하나의 기지국으로 3G와 4G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상용화할 예정이다.
?
회사측은 ‘멀티모달’ 시스템 적용 시, 손쉽게 기존 CDMA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커버리지를 확대함과 동시에 4G 서비스 도입을 통해 모바일 브로드밴드 서비스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
스프린트는 내년부터 차세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비전’ 사업을 시작할 예정으로, 삼성전자는 이 가운데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피츠버그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미국 전역에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한다.
?
스프린트는 현재 미국 모바일 와이맥스 사업자인 클리어와이어의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로서 현재 1억명 이상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 와이맥스 네트워크를 미국 전역에 구축하고 있다.
?
스프린트 댄 해세(Dan Hesse) CEO는 “삼성은 3G와 4G 이동통신에서 시스템부터 단말기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업”이라며, “스프린트 고객들을 위한 강력한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에 삼성의 경험과 전문성이 더해지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 김운섭 부사장은 “한 국가의 통신 인프라 구축에 참여한다는 의미는 참여 기업(삼성전자)뿐 아니라 그 기업이 속한 국가(대한민국)에 대한 신뢰와 기술력을 인정 한다는 것”이라며, “이번 계약은 국내 기술로 처음 교환기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 지난 30여년간 정부와 수 많은 기업이 끊임없이 함께 노력해온 결실”이라고 밝혔다.
?
김 부사장은 “특히, 통신종주국인 미국 기간망 시장 진출로 국내 통신 관련 업체의 세계 시장 진출 및 확대에 날개를 달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계약 규모와 관련, 삼성전자는 비공개원칙에 의해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스프린트 넥스텔은 향후 3~5년 내 자사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위해 50억 달러 이상을 쓸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등 외신이 6일 전했다.
이를 위해 스프린트는 삼성전자 외 알카텔-루슨트, 에릭슨과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알카텔-루슨트는 보스톤과 로스앤젤레스, 워싱턴에 장비를 구축하게 되며 에릭슨은 애틀란타와 달라스, 마이애미를, 삼성전자는 시카고와 덴버, 시애틀을 포함해 각각 5개 시에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