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3일, 그동안 모바일 분야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연간 5천명 규모의 글로벌 모바일 IT 전문 인력을 양성을 위한 T아카데미 오픈 계획을 밝힌 바 있다.<관련기사>

SK텔레콤은 29일 오전 11시 서울대 연구동 2층에서 모바일 전문 교육 센터인 ‘T아카데미(www.tacademy.co.kr)’ 오픈 행사를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SK텔레콤 이성호 Entertainment사업팀장, 이노에이스 현광립 기술연구소장, SK텔레콤 홍성철 서비스부문장, SK텔레콤 김후종 서비스기술원장, SK텔레콤 김진홍 서비스개발담당, 이노에이스 배재신 C&A사업본부장
T아카데미는 SK텔레콤 서울대 연구동 2층에 위치해있으며, 총 190평 규모에 IT도 서관 및 교육개발연구실, 130명이 동시교육 가능한 5개 강의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이 건물 1층에 자리잡은 ‘MD(Mobile Device) 테스트 센터’에서는 수강생들이 앱을 제작해 상용화하는 과정에 필요한 시험용 단말기 및 검증 장비는 물론 콘텐츠 등록, 과금 정산 등의 기술적 지원도 받을 수 있다.
T아카데미 강사진은 IT산업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모바일 개발자, IT 현업 전문가, 대학교수, 전문 교육강사 등 74명의 개발 및 기획 전문가로 구성돼 있으며, 현장에서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철저히 실습 위주의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T아카데미 교과 과정은 다양한 스마트폰 OS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개발자 과정’과 모바일 서비스/게임/UX 기획을 위한 ‘기획자 과정’으로 크게 구분된다. 봄학기는 5월까지 진행되며, 총 24개의 세부 과정이 개설된다.
교육 기간도 수강생 특성에 맞춰 다양하게 운영된다. 현업에 종사하면서 업무능력 향상을 원하는 모바일 분야 중소기업과 협력업체 종사자는 1~2주의 단기 과정에, 일반인 대상 전문가 양성 과정은 10주의 장기 과정에 등록할 수 있다. 전 과정은 무상으로 진행된다.
현재까지 수강 신청 접수 결과, 모바일 개발자 과정 중에서 수강생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과정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으로 경쟁률이 4.5대: 1에 달했다. 또한 모바일 기획자 과정 중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기획자 과정’ 과 UX/UI 과정이 3.2대 1로 경쟁률이 높은 편이었다.
회사측에 따르면, T아카데미 각 과정에는 대학생, 직장인, 가정주부, 초보 개발자 등 다양한 계층의 수강생들이 몰렸다. 수강생을 연령대로 분석해보면, 20대(40%), 30대(52%), 40대 이상(8%)로 20~30 대가 90% 이상을 차지하며, 개발업체 소속 개발자와 개인 개발자간 비율은 각각 52%, 48%로 비슷했다. 성별은 남성이 70%, 여성이 30%였다.
SK텔레콤은 우수한 성적으로 교육과정을 수료한 수강생에게는 장학금 지급과 함께 공식 인증서를 발급, SK텔레콤 관계사 및 협력사에 대한 취업 지원과 연계할 예정이다. 또 우수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사업성 검토 후 서비스 상용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SK텔레콤 홍성철 서비스부문장은 “T아카데미가 모바일 콘텐츠 육성 및 개발자 저변 확대에 기여해 무선인터넷 산업 활성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고객과 개발자 중심의 혁신적인 상생 에코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폭적으로 개발자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업데이트: 사진을 교체했습니다.(14: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