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의 차이가 성능의 차이다….1G에서 5G 까지

      속도의 차이가 성능의 차이다….1G에서 5G 까지에 댓글 닫힘
통신에서 속도의 차이가 성능의 차이인 것은 확실하다. 속도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 느끼는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데이터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수 있냐의 근본적인 것으로 넘어간다.

속도가 느릴 때는 상상으로만 그쳤던 것이 속도가 빨라지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상상하는 그 이상의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5G. 우리가 5G에 주목하고, 5G에 열광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1세대 휴대폰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카폰이었다. 삐삐가 대세였고, 시티폰을 사용하는 사람도 일부 있었다.

단말기는 모토로라 제품이었다. 그 이름도 유명한 모토로라의 ‘마이크로텍’. 서비스 사업자는 현 SK텔레콤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이었다.

2세대 통신은 우리가 익히 아는 CDMA 방식의 휴대폰이었다. 셀룰러의 SK텔레콤, PCS의 KT 및 LG유플러스. SK텔레콤의 국번이 ‘011’이었는데, 당시 011 국번에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도 있었다. PCS 사업자들의 국번은 KT가 016, LG유플러스가 019였다.

당시 업체들은 퀄컴, 삼성전자 정도 언급되었다. 이들은 2세대부터 5세대까지 꾸준히 이동통신 시장에서 이름을 지키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이름도 있다. 017 국번의 신세기통신, 018 국번의 한솔PCS. 신세기통신은 SK텔레콤에 흡수됐고, 한솔PCS는 KT에 합병됐다.

3세대 통신은 W-CDMA로 시작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대 속도가 14.4Mbps라고 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흥분을 했다. 2세대까지는 음성통화가 메인. 3세대 통신부터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논조였다. 그러나 3세대 통신에서 데이터를 자유롭게 사용했다는 기억은 없다. 데이터를 쓸 만한 애플리케이션도 없었다. 지금은 카톡 등의 SMS를 기본으로 사용하지만, 당시 데이터라고는 문자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 정도였다. 음성통화가 아닌 문자서비스를 사용한다는 것은 아주 멋진 경험이었다.

4세대 통신은 LTE 서비스였다. 지금도 LTE는 대세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75Mbps. 음성은 뒤로 사라지고 데이터와 영상이 선두에 선다는 시대였다. SNS 및 MMS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다. 데이터 사용량을 걱정하며 유튜브 스트리밍도 보게 되었다. 와이파이가 일반화 되었다.
와이파이가 되는 지역에서는 마스터즈/US오픈 골프와 윔블던/프랑스오픈 테니스 중계도 휴대폰으로 시청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는 앱으로 도착 시간도 확인했다. 책상에 있는 컴퓨터보다는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더 많이 활용하게 되었다. 가끔 화상통화도 했다.

5세대 통신은 아직 뭐라고 말하기 곤란하다. 5세대 통신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20Gbps. 원격진료 같은 서비스도 실현된다고 한다.

(Visited 84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