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KT·삼성·퀄컴 ‘LTE-H’ 첫선

      [MWC] KT·삼성·퀄컴 ‘LTE-H’ 첫선에 댓글 닫힘
버스정류장에서 KT 기가와이파이를 이용해 고객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부담 없이 즐기고 있는 모습

버스정류장에서 KT 기가와이파이를 이용해 고객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부담 없이 즐기고 있는 모습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KT는 내달 1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Mobile World Congress) 2015에서 삼성전자-퀄컴과 공동으로 이종 통신망인 LTE와 와이파이(WiFi)간 병합 기술인 LTE-와이파이 링크 애그리게이션(LTE-WiFi Link Aggregation), 이른바 ‘LTE-H(HetNet)’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LTE-H는 기존 LTE-A의 주파수 병합 기술인 CA(Carrier Aggregation)처럼 여러 개의 주파수 밴드를 묶는 방식을 넘어, 서로 다른 통신망을 하나의 전송 기술로 묶는 링크 애그리게이션을 적용한 것이며, 향후 5G로 진화 시 4G와 5G 망의 융합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즉, LTE망과 와이파이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대역 LTE 속도 150Mbps와 GiGA 와이파이 속도 450Mbps가 합쳐진 최고 600Mbps의 속도를 가입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LTE-H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현한 기존 LTE-와이파이간 병합 전송 방식들과 달리 세계 최초로 LTE 기지국에서 직접 와이파이 접속을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전송 효율 및 사용자 편의성을 자랑한다.

특히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과 와이파이 AP간 신호 수신감도를 감지해 자동으로 와이파이 접속 온/오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가입자들은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등 기존 와이파이 사용시 불편했던 문제를 해결했다.

향후 KT는 자사의 풍부한 와이파이망과 연계, 2016년 상반기 내에 전국 곳곳의 핫스팟에 기가급 속도를 제공하는 LTE-H 시범망을 구성해 운용할 계획이다.

KT가 MWC에서 삼성-퀄컴과 세계 최초로 선보일 LTE-H 기술 개념도. /사진=KT

KT가 MWC에서 삼성-퀄컴과 세계 최초로 선보일 LTE-H 기술 개념도. /사진=KT

이외에도 KT는 기존 LTE(Licensed 주파수)와 WiFi의 5GHz 주파수 대역간 병합(CA)이 가능한 LTE-U(Unlicensed 주파수)기술도 선보인다.

KT는 삼성전자-퀄컴과 공동으로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을 적용해 와이파이와 공존이 가능하면서도 기존 LTE와 주파수 병합이 가능한 LTE-U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KT가 보유한 기존 와이파이망을 활용하는 동시에 LTE 속도도 높이는 기술을 확보해 가입자들은 광대역 LTE 150Mbps와 와이파이 주파수 300Mbps가 합쳐져 가입자들은 최대 450M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이용할 수 있다.

KT 오성목 네트워크부문장은 “KT는 세계 1위 와이파이 사업자로서 삼성전자, 퀄컴과 함께 5G 진화에 핵심이 될 LTE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품질의 무선통신 속도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Visited 62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