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장현실 기자 = 카카오톡과 라인의 중국 내 서비스 장애가 중국측 ‘테러방지’ 때문이라고 미래부가 설명했다.
이진규 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정책관은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중국 내 외국계 모바일 메신저 중 테러관련 정보가 유통되는 일부 메신저를 차단했는데, 이 중 카카오톡, 라인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중국 내 카카오톡과 라인에 봄은 올까?
중국에서 많은 테러를 일으키는 조직들이 주로 동영상 웹사이트·클라우드컴퓨팅·모바일 메신저 등으로 테러를 음모·선동하거나 폭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유포하고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이 정책관의 설명이다. 차단 메신저는 카카오톡, 라인 외 디디(Didi), 토크박스(Talk Box), 바우어(Vower) 등이다.
다만 미래부는 카톡이나 라인을 통해 관련 정보들이 오갔는 지에 대해 확인된 바는 없다고 전했다.
미래부는 중국에서 카카오톡, 라인이 지난 7월 1일 저녁부터 메시지 수·발신이나 회원 가입 등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이의 원인확인과 장애해소를 위해 외교부와 협력해 중국측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해왔다고 강조했다.
앞으로도 카카오톡, 라인의 서비스 제공 차질과 중국 내 이용자의 불편이 하루빨리 해소될 수 있도록 중국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겠다고 미래부는 덧붙였다.
자국 IT업체 보호를 위한 것 아니냐는 그간 의혹에 대해서는 이 정책관은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이 정책관은 설명에 앞서 “오늘까지 중국측으로부터 확인한 사실을 말씀드리겠다”고 못박았다.
앞서 미래부는 지난달 16일 “미래부가 ‘라인·카카오톡 서비스의 중국 먹통’과 관련 거짓말을 했다는 아시아경제 해당 일자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한 바 있다.
당시 해당 신문은 미래부가 지난 14일 중국 정부로부터 라인·카톡의 서비스 장애 원인에 대한 답변을 받았으나, 당일 언론 취재시 중국 정부로부터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거짓말로 대응해 논란을 자초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미래부는 “주중 한국대사관을 통해 라인·카톡의 중국 서비스 장애 관련 원인 등에 대해 중국 정부에 문의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해 왔다”며 “다만 14일 언론 취재 당시에는 수집된 정보의 정확성이 대외 공개가 가능할 정도로 확인되지 않아 공개 가능한 일부 사항만 설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현재 중국 내에서 카톡은 신규 가입과 친구 추가 등이, 라인은 일체의 서비스가 차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정책관에 따르면 언제 풀릴 지 알 수 없으며, 다만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중국과 협의를 계속해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