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선도’ 미래부 칼 뽑았다

      ‘5G 선도’ 미래부 칼 뽑았다에 댓글 닫힘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가 2020년까지 연구개발, 표준화 및 기반조성에 1조6000억원을 투자해 4G 이후 등장할 5G 시대를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5G 시장 조기 활성화 등 ‘5G 마스터 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5G(Generation) 서비스는 4G 대비 1천배 빠른 미래 이동통신 기술 및 서비스로서,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서 나를 이해하는 서비스, 언제나 나와 함께하는 디바이스, 어디서나 나를 따라다니는 네트워크를 목표로 한다. 개인당 1Gbps급 전송속도 제공 기술, 수 msec 이하의 빠른 지연 단축 기술 등을 통해 수많은 주변 다바이스와 소통하게 된다.

5G 기술은 현재 최신 기술인 4세대 이동통신(LTE) 보다 1000배 빠른 차세대통신기술로서, 202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800MB 영화 1편 다운시 1초 이내 가능한 속도다. 4G LTE 경우, 약 40초가 소요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22일 개최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ICT 산업과 타 산업을 혁신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Creative 5G Mobile Strategy)’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이 계획은 ‘세상에서 가장 앞선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정하고, ▲5G 시장 조기 활성화(Market Activator) ▲5G 표준화 글로벌 공조(Standard Frontier) ▲도전적 R&D 추진(Technology Leader) ▲스마트 新생태계 조성(Ecosystem Renovator) 등 ‘5G MASTER 전략’을 추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5G 기술은 ICT 산업 및 타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창조경제의 핵심 인프라로서, 최근 유럽, 중국, 미국 등에서 관련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며 수년 내 치열한 기술 경쟁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래부는 작년 5월 이통사(SKT, KT, LGU+), 제조사(삼성, LG, 에릭슨-LG), 중소기업(KMW) 등이 참여하는 ‘5G 포럼’을 창립해 자유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미래 이동통신 발전을 위한 이번 추진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우선 ▲5대 핵심서비스를 발굴하고 상용화를 추진한다.

미래 SNS, 모바일 입체영상, 지능 서비스, 초고속 서비스, UHD/홀로그램 등 핵심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단계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등에서 시연할 계획이다.

단계별 5대 서비스는 ’15년 12월까지 Pre-5G 핵심 서비스 시연을, ’17년 12월까지 5G 핵심 시범서비스 실현을, ’20년 12월까지 세계최초 5G 상용서비스 제공 등 단계별로 추진할 예정이다.

둘째 ▲표준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한다.

표준화 전단계부터 유럽, 중국 등과 기술교류를 추진하고, 5G 서비스 및 기술 요구사항 등 공동 비전(Vision)을 선도적으로 제시해 국제공조를 통한 표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모바일 광개토플랜’ 등 국내의 주파수 확보 계획을 반영해 글로벌 주파수를 확보하고, 6GHz 이상 대역에서 신규 5G 후보대역을 발굴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모바일 광개토플랜 2.0(’13.12월 제정)은 ’23년까지 1㎓폭 이상 이동통신 주파수를 확보하는 미래부 전략이다.

셋째, 2020년까지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를 목표로 ▲도전적 목표를 설정하고 선도형, 글로벌 시장지향형 기술을 개발한다.

개발되는 기술의 시장성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해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는 한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장비, 단말, 서비스를 위한 전주기 기술사업화(R&BD)를 진행한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에 진입장벽이 높은 통신칩 개발을 위해 우수 기업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웨어러블 단말, 스마트카, 스마트 교육 등 신규 시장 확대에 대비하고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이동통신 시장에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의 사업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기업, 대기업 간의 공생 발전이 가능한 모바일 新생태계를 조성한다.

5G 이동통신 R&D 등에 중소기업 참여비중을 확대(25%→40%)하고, 중소기업의 시장창출을 촉진하는 제품화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상용화 예정 제품 및 서비스 검증환경을 제공하고, 국제공인시험인증에 대한 종합적인 컨설팅 서비스도 지원한다.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정부는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2020년까지 단말시장 1위, 장비시장 점유율 20%, 국제 표준특허 경쟁력 1위, 일자리 1만6천개 창출을 목표로 7년간(‘14?’20년) 정부·민간 공동으로 약 1조6000억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통해, 향후 2020년부터 2026년 간 5G 기기·장비의 수출 및 내수를 통해 총 331조원의 매출과 국내 통신서비스부문에서 68조원의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래부는 민간과 정부의 역량을 총체적으로 결집하기 위해 ‘5G 전략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전략적인 기술개발, 국제 표준화 대응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5G 전략추진위’는 미래부 제2차관 및 담당국장, 관계부처, 이통사,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5G포럼 대표, 외부 전문가 등 산학연관 전문가 20인 내외로 구성됐으며, 반기별로 개최된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5G 이동통신은 지식과 정보가 유통되는 핵심 인프라로서 콘텐츠, 플랫폼,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향후 큰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민·관이 함께 힘을 모아 선도적 기술개발 및 활성화 등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Visited 45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