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박세환 기자 = 변화무쌍한 국내 IT업계에 2014년에는 또 어떤 큰 변화가 일어날까? 홍보대행사 OPQR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플렉서블 스마트폰 등 新패러다임에 따라 시장 변화가 촉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근 화제가 되는 이슈 중심으로 정리해봤다.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글 글래스.
2014년은 ‘몸에 걸치는 IT기기’의 해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쏟아지며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입는 컴퓨터)’는 연일 업계를 들썩이게 하고 있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옷이나 시계, 안경, 액세서리처럼 자연스럽게 몸에 착용하고 다닐 수 있는 컴퓨터를 뜻한다. 전세계 수많은 전자?IT업체들이 관련 시장에 뛰어들며 2014년은 바야흐로 ‘입는 IT 기술’의 춘추전국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팽팽한 찬반양론 등 이미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는 구글의 스마트안경 ‘구글글래스’는 기존 입는 컴퓨터에서 한 차원 진화한 스마트 기능을 구현한다. 카메라를 장착한 안경에 증강현실, 음성입력, 동작인식, 웹접속 등의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얼마 전에는 음성명령으로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을 탑재한다는 외신의 보도가 있었을 정도로 여전히 진화 중에 있다.
플렉서블 스마트폰 출시로 첫발을 내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2014년 본격화될 예정이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 새롭게 대두된 화두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다. 말 그대로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뜻하는 것으로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이 없는 유연성을 가진 휘어지는 스크린을 말한다.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게와 두께도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때문에 초경량 스마트폰을 만들 수 있고 파손 우려도 없다. 화면을 마음대로 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얼마 전, 국내 굴지의 IT기업들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기술의 전 단계로 꼽히는 ‘곡면 스마트폰’을 상용화하면서 ‘플렉서블 스마트폰’ 시대에 바짝 다가서게 됐다.

LG전자의 커브드 스마트폰 ‘G플렉스’.
LG전자는 상하로 휘어진 스마트폰 ‘G플렉스’를 출시했다. 상하로 휜 디자인을 채택해 스마트폰을 옆으로 놓았을 때 작은 커브드 TV와 같은 모습이다. 커브드 TV는 일반 평면 TV보다 몰입감이 높아, 좌우로 휜 디자인보다 더 실용적이라는 평가다. 또 LG ‘G플렉스’는 ‘휘는’ 스마트폰이 아니라 ‘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부릴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채용했을 뿐만 아니라 커브드 배터리를 적용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사물인터넷(M2M:Machine to Machine)’도 주목받고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 망으로 연결돼 새로운 가치와 기회를 창출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통신사의 로컬 및 공공사업을 중심으로 사물간 인터넷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KT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해 차량의 운행정보 자료를 수집, 분석해 관련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DTG(디지털운행기록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스마트폰을 통해 화물운송 전 단계를 시스템화하고 화물정보망과 연계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에 원격제어 시스템을 도입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계량한 후 빠르고 안정적인 요금 부과 및 배출 정보를 한국환경공단 중앙시스템에 연계 처리하는 서비스도 도입했다.
최근 가장 주목할 만한 업계 변화로는 지상파 3D 방송 시대가 열렸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지난 10일, SBS가 지상파 방송 세계 최초로 3D방송을 시작했다. 이를 계기로 3D TV를 보유한 시청자들은 지상파를 통해 고화질(HD)로 SBS의 3D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됐다.
추후 SBS 외에 다른 방송국의 3D 방송 시작이나 전국 방송 확대는 정부 주도로 순차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향후 3D콘텐츠 활성화를 위해 제작장비 임대, 제작비 지원 등을 이어갈 계획이어서 국내 3D TV 시장의 결정적인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