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노트3, 美보다 29만원 비싸다(종합)

      갤노트3, 美보다 29만원 비싸다(종합)에 댓글 닫힘
갤럭시노트3 국내 출고가가 미국보다 29만원 더 비싸다고 강동원 의원이 13일 주장했다.

갤럭시노트3 국내 출고가가 미국보다 29만원 더 비싸다고 강동원 의원이 13일 주장했다.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국내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스마트폰을 해외보다 국내 소비자들에게 훨씬 더 비싸게 팔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해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해외보다 비싼 국내 스마트폰 출고가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출시된 갤럭시노트3가 106만 7천원으로 국내 출시됐지만, 부품원가는 불과 25만원 수준에 그쳐 휴대폰 단말기 인하요구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강동원 의원(무소속)은 해외 이통사 홈페이지와 반도체 칩 컨설팅 전문업체인 테크인사이트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갤럭시노트3의 분해를 통해 부품원가가 237.5달러로 추정된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부품원가 대비 4배 비싸게 책정된 갤럭시노트3는 해외에서 국내보다 출고가가 낮게 책정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갤럭시노트3 국내 출고가가 106만 7천원인 반면, 해외 출고가는 70만~90만원대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게 강 의원의 주장이다.

갤노트3 가격단말가격이처럼 부품원가 및 해외 출고가 대비 높게 책정되는 스마트폰 가격으로 인해 가계통신비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2012년 기준으로 국내 2인 이상 가계에서 연간 부담하는 휴대폰 단말기 대금은 무려 총 190만원에 달하는 계산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는 이통사의 보조금 지급으로 단말기를 저렴하게 구입한다고 생각하지만, 보조금은 통신요금에 반영되기 때문에 사실상 제조사 장려금을 제외한 단말기 대금은 모두 궁극적으로는 소비자가 부담한다는 것이다.

전국 휴대폰 판매점 등에서 ‘단말기 공짜’ 등의 문구로 고객들을 현혹시키고 있지만, 단말기 보조금에 의한 착시효과를 제거하면 연간 가계에서 부담하는 단말기 구입비용은 190만원에 상당하다고 강 의원은 강조했다.

단말가격계산이같은 비용은 2인 이상 한 가구가 휴대폰 단말기 구입비용으로 매년 고급 냉장고 값에 해당하는 가격을 지불하는 것과 같은 결과라는 지적이다.

강 의원은 “국내 단말기 제조사들은 부풀려져 있는 스마트폰 출고가를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소비자 출고가격 대비 국내 소비자를 역차별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강 의원은 국내 단말기 제조사들이 국민들에게 100만원대 이상의 고가 스마트폰의 구입만 강요하는 프리미엄 판매전략을 중단하고 보다 다양한 중저가 단말기를 보급해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같은 위원회 소속 전병헌 의원(민주당)도 “지난 7월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이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휴대폰 평균 판매가격(415달러)이 전세계 평균 166달러의 2.5배에 달한다’고 확인한 바 있다”고 이날 밝혔다.

전 의원에 따르면, 2013년 국정감사를 위해 미래부와 이통3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012년부터 2013년 8월까지 국내에 출시한 스마트폰의 평균 출고가는 76만 6465원으로 같은 기간 삼성전자 스마트폰 글로벌 평균판매 가격 315달러(33만 8000원)보다 여전히 2.3배 정도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

전 의원은 2012년 국정감사에서도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국내 출고가가 세계 평균 판매가격보다 2.5배 높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아울러 전 의원은 LG전자의 경우도 글로벌 평균 판매가격이 국내 평균 출고가격보다 2.6배 높다고 지적했다. LG전자가 이통3사를 통해 2012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출시한 스마트폰의 평균 출고가격은 71만 8903원으로, 같은 기간 글로벌 스마트폰 평균 판매가격은 253달러(27만 1537원)로 나타났다고 전 의원은 덧붙였다.

삼성제품가

(Visited 55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