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규조 미래창조과학부 전파정책관이 30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창조과학부 기자실에서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최종 결과’ 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미래창조과학부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통신3사가 주파수경매 결과 발표 직후 각사의 입장을 내놓았다. 서로 ‘최선의 결과’라고 평가했지만, 일부 통신사의 경우 미묘한 온도차도 보였다.
당장 최대 수혜자로 꼽히는 KT는 이날 ‘KT 1.8GHz D블록 주파수 확보에 따른 입장’을 발표, 1.8GHz 대역에서 광대역 LTE 서비스를 제공해 품질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KT는 “주파수라는 한정된 국가자원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로 판단된다”며 “기존의 단말 교체없이 LTE 서비스를 할 수 있고 단기간 내에 고객에게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9001억원은 합리적인 금액이다”고 설명했다.
KT는 아울러 900MHz 간섭문제를 조속히 해결해 세계 최고 수준의 LTE 품질을 선보이는 동시에 이를 통해 차세대 LTE서비스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질 좋은 서비스로 국민 편익을 증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이번 경매가 각 사의 전략에 따라 필요한 주파수 확보를 위한 노력이었다고 평가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고객이 이용하고 있는 만큼 향후 증가할 LTE 가입자 규모와 추가 주파수의 필요성을 고려해 이번 주파수 경매에 임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SK텔레콤에 따르면 1단계로 동시오름 입찰에서 선호대역을 중심으로 정해진 경매규칙에 따라 과열되지 않도록 입찰에 임하였고, 2단계 밀봉입찰에서는 각 블록 별 경제적 가치를 고려해 입찰가를 제출했다.
SK텔레콤은 이번 확보한 C2 대역이 기존 1.8GHz 주파수의 광대역화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대역으로, 이미 1.8Gz 대역에서 LTE-A로 84개시 서비스를 제공 중인 상태에서 2.6GHz 대역대비 짧은 기간 내에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주파수 경매 결과에 따라 밴드플랜2의 B2블록인 2.6GHz대역 40MHz폭의 주파수를 확보하고 광대역 LTE서비스를 위한 준비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번에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2.6GHz대역을 할당받게 됨에 따라 세계최고 수준의 LTE 전국망을 구축한 800MHz 대역과 LTE-A망인 2.1GHz대역 등의 기존 LTE 주파수를 포함해 통신3사중 가장 많은 80MHz폭(쌍방향 기준)의 LTE 주파수를 확보, 고객들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합리적인 할당대가의 2.6GHz대역을 전략적으로 선택함에 따라 경매에 따른 비용부담을 최소화하는 한편 광대역 네트워크 전국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투자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또한 광대역 LTE 서비스는 물론 향후 광범위한 LTE 해외로밍 서비스와 단말 및 장비 수급 등이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광대역 LTE 주파수 확보를 계기로 LTE 서비스는 물론 광대역 서비스 시장에서도 확고한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주파수경매, 결국 KT 웃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