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겉은 ‘900MHz 간섭’, 속은…

      KT, 겉은 ‘900MHz 간섭’, 속은…에 댓글 닫힘
KT 직원들이 KT안양지사에서 지하철 4호선 평촌역까지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900MHz 대역의 간섭현상을 측정해 보이고 있다.

KT 직원들이 KT안양지사에서 지하철 4호선 평촌역까지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900MHz 대역의 간섭현상을 측정해 보이고 있다. ?/사진=KT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KT가 16일 900MHz 대역 주파수 간섭에 대한 현장검증 시연회를 열고 자사의 1.8GHz 인접대역 할당 당위성을 공개했다. 2배 빠른 서비스를 따내기 위해 2배 늦은 자사 ‘불량’ LTE 서비스를 일부러 시연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KT는 “경쟁사들은 주력망(전국망)에 보조망을 더해 40MHz 폭으로 서비스중이지만 KT는 보조망인 900MHz 대역의 전파간섭 문제로 20MHz 폭만으로 LTE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는 경쟁사들이 전력질주를 하는데 KT는 아픈 다리로 목발을 짚고 달리는 것과 같다”고 현상을 꼬집었다.

반면 현 900MHz로는 잘 안터지는 자사 LTE-A 서비스를 시연함으로써 원하는 1.8GHz 인접대역을 할당받지 못할 경우 원할한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다는 건지 설명이 없어 ‘자충수’라는 지적도 있다.

KT는 이날 900MHz 대역에 대한 RFID(무선인식전자태그), 무선전화기 등과의 간섭현상을 실내 모의실험 및 현장검증을 통해 시연했다. 현장검증은 KT안양지사(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달안동)에서 지하철 4호선 평촌역까지 약 5Km 구간에 걸쳐 진행됐다.

KT에 따르면 RFID의 경우 2011년 6월 이후에 출시된 신형 장비는 문제가 없으나, 다수의 구형 RFID는 900MHz와 간섭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908.5~914MHz 대역을 쓰고 있는 구형 RFID는 이동통신용 900MHz의 업링크 대역(905~915MHz)과 중첩이 되고 있다”며 “이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정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해 업로드 단절은 물론, 다운로드 속도까지 정상치의 최대 50% 이상을 감소시키는 피해를 야기시킨다”고 설명했다.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휴대형 수화기)가 914~915MHz, 고정장치가 959~960MHz를 쓰고 있다. 이는 KT 900MHz(상향 905~915MHz / 하향 950~960MHz) 대역에서 기지국과 단말기간 자원할당, 전력제어, 데이터 수신 응답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제어채널과 중첩을 일으킨다.

KT는 “900MHz 간섭문제가 이처럼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주파수 확보를 노리고 900MHz 이슈를 부각시킨다’는 경쟁사의 주장은 KT의 진정성을 왜곡시켜 자사에 유리한 논리를 만들고자 하는 꼼수에 불과하다”며, “올해 900MHz 대역에 4천 7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려는 계획도 지연되고 있는 만큼 주파수 간섭문제 해결을 통한 인프라 확보가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 KT는 900MHz 대역의 전파간섭 이슈가 본격화 된지 10개월이 지났지만 문제해결 진척 정도는 여전히 더딘 상황이라고 전했다.

KT는 지난해 9월 이후 지금까지 구 방통위, 미래부에 종합적인 해결책 마련 건의와 합동점검 등을 수 차례 진행했고 KT 스스로 500여명의 인력과 30억 원의 예산을 들여 구형 RFID 조치 등 미래부의 전파간섭 해소 활동을 지원했다”며 “하지만 아직까지 강남과 서초, 종로, 중구 등 서울 주요 4개 구의 구형 RFID 조치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KT는 “’2배 빠른 LTE’ 시대를 맞아 공정한 서비스 품질 경쟁으로 고객 혜택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900MHz 간섭문제 해결, 신규 주파수 확보 등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Visited 74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