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창의적 콘텐츠산업 육성이 정부 주도로 진행된다. 미래창조과학부 등은 2017년까지 펀드 9000억원 추가 조성 등을 통해 수출 100억달러, 매출액 120조원, 일자리 8만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4일 제1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콘텐츠산업 진흥계획’을 합동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지난 3월 정부조직개편으로 디지털콘텐츠 분야가 미래부로 이관됨에 따라, 미래부와 문체부는 원활한 협업을 위해 지난 6월 4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합동 T/F를 구성해 콘텐츠산업 진흥계획 수립을 준비해 왔다.
특히, 중소 콘텐츠 업계 대표와 민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간담회와 정책포럼을 통해 개선과제를 발굴해 진흥계획에 반영함으로써, 현장의 애로사항 해소와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에 노력했다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미래부에 따르면, 이번 진흥계획은 2017년까지 콘텐츠 분야에 펀드 9000억원을 추가로 조성하고, 콘텐츠코리아 랩 23개소를 설립하는 등 창의적 콘텐츠로 손에 잡히는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미래부와 문화부는 콘텐츠산업으로 창조경제를 견인해, 국민소득 3만불 시대를 실현한다는 정책비전을 제시했다. 2017년까지 시장규모를 120조원으로 키우고, 100억달러 수출, 69만명 고용(8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5개 추진전략 하에 12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키로 했다.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미래부 등은 우선 민간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모태펀드를 활용한 투융자 재원을 지난해 9200억원에서 2017년 1조 8200억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문화콘텐츠 장르, 인문예술 융합콘텐츠 등의 제작단계별 및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펀드(위풍당당 콘텐츠코리아펀드)를 조성(5,000억원)하고, 미래부는 방송통신콘텐츠, ICT 기술 연계형 디지털콘텐츠 등의 제작 및 창업을 지원하는 펀드(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를 조성(4,000억원)할 계획이다.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과제로는 먼저 창의성과 상상력을 지원하는 창조기반 조성에 힘쓰기로 했다. 이를 위해 창의적 콘텐츠 제작지원을 위한 투융자 활성화, 과학기술·ICT와 문화의 융합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 창조경제 시대에 부응하는 제도 개선을 과제로 뒀다.
창업 활성화 및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창작과 창업의 공간인 콘텐츠코리아 랩 설립, 콘텐츠 분야 창직·창업 활성화 및 고용안정 지원, 콘텐츠 창의인재 양성에 나서며, 다음 글로벌 콘텐츠 육성 및 지역기반 강화를 위해 콘텐츠 해외진출 지원 확대와 경쟁력 있는 콘텐츠 육성, 지역의 콘텐츠산업 육성을 주요 과제로 내세웠다.
아울러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저작권 기반 강화를 통한 비즈니스 환경 구축, 콘텐츠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환경 조성, 행복하고 안전한 콘텐츠 이용환경 조성에 주력키로 했으며, 마지막 콘텐츠 육성 거버넌스 구축도 주요 전략으로 앞세웠다.
특히 관계부처, 업계 대표,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해 규제완화?제도개선 및 상생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N-스크린이나 UHD와 같은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연계 협의체도 올해 하반기 중 구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최근 국회를 통과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등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한 법령의 정비도 추진할 계획이다.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