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특별취재팀 = ‘살아있는 벤처신화’로 ICT 업계의 신화적 존재로 잘 알려진 김종훈 벨연구소 사장의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이 큰 화제를 낳고 있다. 현재와 미래 국내의 ICT를 이끌어갈 최적임자라는 호평부터, ‘이중국적’ ‘미국의 이익 대변’ 등 부정적인 평가들이 그의 유명세만큼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17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김종훈 현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 사장을 포함, 모두 11개 정부부처 장관 인선을 마무리했다. 아직 정부조직법 원안이 통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설 미래창조과학부와 해양수산부 장관후보자 인사까지 발표된 데 대해 국회 입법권 침해 등 ‘초법조각’이란 논란도 낳고있는 상태다.
이번 장관 내정자 가운데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이중국적 이슈가 제기된 상태로, ‘미국의 이익을 대변할 것’이라는 우려까지 더해지고 있다. 김 내정자는 장관 내정자 발표 직전인 지난 14일 한국 국적을 취득했으며, 이른 시간내 미국 국적을 포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내정자는 인수위 인사 발표 당일 이중국적 이슈에 대해 “지난 8일 국적회복을 신청해 14일 법무부로부터 국적회복 허가를 받았다”며 “조국에 대한 봉사를 위해 국적회복을 신청하면서 미국시민권을 포기하기로 서명했고, 관련 절차에 따라 시민권 포기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에서의 회사 운영 관련해서는 “한국에 오기 전에 회사경영진 등과 충분히 상의해 왔으며, 조만간 회사차원에서 후계자 관계를 논의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15세 때 미국으로 이민간 김 내정자가 미국에서 군대를 마치고 미국 기업에서 일해왔다는 점에서 그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특히 신설 미래과학부가 우리나라의 과학과 ICT 기술 및 정책을 총괄하는 핵심부서라는 점에서, 미국기업이나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그가 과연 적절하느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서는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국방, 정부 기밀이 많이 포장되기 때문에 미래과학부 장관직을 가볍게 볼 게 아니다”, “외국국적을 가지고 외국군대에서 군생활까지 한 사람을 우리나라 장관에 임명한다니요”, “막강한 공룡부처인 만큼 국내 사정에 좀 더 밝은 인물이 돼야한다” 등 우려의 목소리들도 나오고 있다.
민주통합당 박홍근 의원은 이와 관련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과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기술보안과 정보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부처”라며 “이처럼 국가차원의 기술과 보안을 책임지는 부처의 수장에 이미 오랫동안 미국업계의 이익을 대변해온 사람을 임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우려를 표했다.
실제 중국기업인 레노버의 IBM PC부문 인수 당시 미국 업계가 큰 우려를 전달하는 등, 특히 ICT 분야 핵심 기술과 보안의 유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국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한편, 김종훈 장관후보자는 이날 발표한 지명소감을 통해 “새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을 구현할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는 동시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으며, 박근혜 당선인에게 미력하지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앞으로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장관직무를 수행하게 된다면,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과 ICT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국가 경제가 지속성장해 나가는데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도전적 정신과 봉사하는 마음으로 다 같이 힘을 합쳐서 국민들께 약속한 정책들을 실천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후보자 인사청문지원팀이 공식 발표한 김종훈 내정자 프로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프로필>
□성명 : 김 종 훈 (金 鍾 勳, Jeong Hun Kim)
□생년원일 : 1960년 8월 13일
□직업 :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최고전략책임자(Chief Strategy Officer) 겸 벨 연구소장(President of Bell
Labs), 메릴랜드대 교수
□학력
– 1979~1982년, 존스홉킨스대 학사(전공: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 1987~1989년, 존스홉킨스대 석사(전공: Technical Management)
– 1989~1991년, 메릴랜드대 박사(전공: Reliability Engineering)
□가족관계 : 배우자(전업주부) 및 자녀 2명(대학생)
□주요경력
– 1982~1989년, 미국 해군(US Navy) 장교
– 1992~1998년, Integrated Systems Technology, Inc.* 창립자·대표
* 1996년 유리 시스템즈(Yurie Systems, Inc.)로 명칭 변경
– 1998~2001년, Lucent Technologies, Senior Executive and Corporate Officer
– 2002년~현재, 메릴랜드대 전자공학부/기계공학부 교수
– 2005년~현재,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벨 연구소장
– 2011년~현재,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최고전략책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