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2012년 국내 모바일광고시장 규모는 2159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시장규모는 4160억원으로 2012년 대비 약 9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인터넷?모바일이 TV에 이어 2대 광고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광고가 이처럼 높은 성장세를 시현함에 따라 인터넷?모바일광고 시장의 규모와 비중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아 지난해 최초로 실시한 ‘2012년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 행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모바일광고 사업체(광고대행사, 플랫폼사, 앱개발사, 매체사 등) 365개사와 광고주 200개사를 대상(응답 사업체 126개사, 광고주 40개사)으로 지난해 10월 22일부터 12월 17일까지 진행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2년 모바일광고 시장규모는 2159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84% 증가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냈다. 2013년 시장규모는 4160억원으로 2012년 대비 약 9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사업체 유형별로는 작년 모바일광고 매체사의 매출이 크게 증가(243.9%)하며 광고대행사, 플랫폼사, 매체사 등 다양한 사업체 유형 중 매체사의 매출규모(1,291억원)가 가장 컸다. 그러나 올해는 플랫폼 사업자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113.5%)하며 매출규모면에서 매체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것으로 기대됐다.
모바일기기 이용자 24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용자 행태 조사(’12.11.19∼12.7)에서는 다수의 이용자가 이미 모바일웹 DP(디스플레이), 검색광고, In-App(앱내)광고 등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광고를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로 접해본 비율은 모바일웹 DP광고(92.3%) > 검색광고(91.5%) > 텍스트광고(89.0%) > In-App광고(78.6%) 순이고, 광고를 접한 뒤 클릭해 내용을 살펴본 비율은 모바일웹 DP광고(74.4%) > 검색광고(72.9%) > In-App광고(70.5%) > 텍스트광고(67.0%) 등의 순이었다. 한편, 브랜드앱광고를 접한 이용자(61.1%) 중 57.5%는 해당 앱을 다운로드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로 클릭한 이유를 살펴보면, ‘관심 있는 상품 정보이기 때문에’가 모바일웹 DP광고(47.6%), 텍스트광고(37.2%), 브랜드앱광고(35.5%), VOD광고(29.9%)에서 1순위였으며, 이용자가 검색을 통해 광고를 접하는 검색광고의 경우 ‘가장 상단에 위치’해서 라는 비율이 3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광고 유형별 어울리는 콘텐츠 조사에서는 브랜드앱광고의 경우 자동차(46.9%), In-App(앱내)광고는 게임/오락(34.7%), 검색광고는 패션/화장품(29.9%)이 1순위로 나타나, 주로 각 유형에서 자주 접해왔던 콘텐츠 중심으로 응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호하는 모바일광고 프로모션으로는 최근 모바일을 이용한 보상형광고가 확대되는 추세로 ‘포인트 및 마일리지 지급(40.7%)’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경품 지급, 할인쿠폰 지급의 선호도는 각각 22.4%, 19.4%로 조사됐다.
방통위는 올해도 새로운 유형 광고에 대한 이용자 테스트 패널을 운영하고 온라인광고 법?제도 가이드북 및 표준계약서?약관 마련, 민간 자율의 분쟁조정위원회 및 모바일광고 플랫폼 인증제도 운영 지원 등 인터넷?모바일광고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활동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2012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이용자 행태 조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를 통하여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