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탓, SK텔레콤 이익 큰폭 감소

      LTE 탓, SK텔레콤 이익 큰폭 감소에 댓글 닫힘

셀룰러뉴스 홍석표 기자 = SK텔레콤이 2012년 연간 실적에서 소폭 매출 증가에도 불구,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큰폭 감소한 성적표를 내놓았다. LTE 마케팅 경쟁 탓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12년 연간 매출 16조3005억원, 영업이익 1조7602억원, 순이익 1조1157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이동통신 요금인하(‘11년 9월부터 기본요금 1천원 인하 및 무료 SMS 50건 제공) 및 경쟁 환경 다변화 등으로 수익 감소 요인이 커졌지만, LTE리더십 강화와 함께 B2B 사업 및 SK브로드밴드와 SK플래닛 등 자회사 사업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급격한 LTE 고객 증가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와 함께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대비하고 네트워크를 고도화 하기 위한 설비 투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3.3% 감소했으며, 순이익은 29.5% 줄었다. 4분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5446억원, 순이익 519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81.1%, 195.5 % 증가했다.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4조3388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7.8% 감소했다.

SK텔레콤은 LTE 전국망을 조기 구축하고, 지난해 7월 1일 세계 최초로 LTE 멀티 캐리어(Multi Carrier)를 상용화 하는 등 네트워크 고도화를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집행한 SK텔레콤의 투자지출액(CapEx)은 2조 8584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25.5% 늘었다.

또한 SK텔레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완벽한 통화품질 기반 위에 T프리미엄 등 자사 LTE 고객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HD 보이스와 조인.T(joyn.T) 등 올(All)-IP 기반의 신규 서비스에도 앞장 서고 있다.

이와 같은 차별화된 품질과 서비스 혁신 선도 노력의 결과,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 12일 연간 LTE 고객 목표인 700만명을 조기 달성하며(‘12년말 기준 753만명) 국내에서 독보적인 1위는 물론 세계 3대 LTE 사업자로서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다.

2013년 SK텔레콤은 MNO 사업과 성장 사업에서 혁신을 지속 선도하며, 고객 및 기업가치 극대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최고의 고객가치 지향’을 2013년 경영활동의 근간으로 정하고, 보조금 중심의 이동통신 경쟁에서 벗어나 고객의 모든 생활 영역에서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상품/서비스 경쟁을 선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솔루션 · 미디어 · 헬스케어’ 등 신규 성장 사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솔루션 사업을 B2B 영역의 핵심 분야로 성장시키고, 유무선 IPTV(Btv,Btv Mobile)를 통해 미디어 및 콘텐츠 사업을 강화한다. SK텔레콤의 첨단 ICT 역량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국내외 시장에서 사업 성과를 본격화 한다.

또한 SK플래닛은 T스토어·T맵·11번가 등에서 축적된 확고한 경쟁력에 더해, 지난 1일 SK M&C와의 합병을 통해 빅데이터(Big Data)·디지털 콘텐츠·커머스 등에서 시너지 창출과 신성장 동력 발굴을 강화할 계획이다.

image

(Visited 5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