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 모바일 ‘직겨냥’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 모바일 ‘직겨냥’에 댓글 닫힘

파워 관리, 센서 모바일 인포테인먼트 분야의 아날로그 솔루션 제공업체인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www.austriamicrosystems.com)는 오스트리아의 몇 안 되는 하이테크 분야 기업 중 대표적인 종합 반도체 회사이다. 본사에 반도체 제조 공정 라인을 갖춘 이 회사는 200 여명의 아날로그 엔지니어와 전 세계 8곳에 디자인센터를 두고 30여년 동안 각종 IP를 확보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업계에서의 위치를 다져오고 있다.
?
회사 매출의 54%는 산업용과 의료용에서 발생하며 그중 지역적으로는 38%의 배출이 아시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모바일을 포함한 컨슈머 분야가 가장 큰 시장이기도 하다.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아시아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 회사는 최근 대만에 오피스를 열었으며 도쿄, 선전 등 타 동북아 지역에도 계속 현지 법인을 개소 중이다.?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는 파워 관리, 센서 모바일 인포테인먼트 분야의 아날로그 솔루션 제공업체다.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가 올해에 주력할 분야 중 하나는 기기 작동중의 스트레스인 이른 바 노이즈 제거/감소 기술이다. 이미 2009년에 시작된 이 신흥 시장에서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는 over-ear, on-ear, in-ear 포맷에서 필요한 모든 기술을 확보했으며 Creative, Philips, Tinteo, Phiaton, Audio Technical, Pioneer등 아시아에서 생산되는 각종 오디오 관련 기기에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
3메가 픽셀에서 이미 5메가 8메가를 넘어 12메가픽셀로 이동해버린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에 대해서는 RGB, 플래쉬, 파워 관리 기능을 합친 지능형 제품이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는 이미 30% 이상의 휴대폰이 플래시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분석 하에 더욱 정교한 라이팅 솔루션을 접목시킴으로써 “스마트 + 정확도”의 두 요소를 모두 갖추겠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특히 기존의 800mA급에서 1A 이상으로까지 진전한 LED 플레쉬 드라이버의 경우 3미터까지 어둠 속의 이미지를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속성을 파악해 슈퍼 커패시터까지 내장해 최고 6A까지 가능한 플래쉬 시스템의 시장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LED/XENON/슈퍼커패시터 기반의 플래쉬 시스템은 조만간 휴대폰뿐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
1.6A, 2A, 6A제품을 끊임없이 개발한다는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의 이른 바 Seamless 포트폴리오 정책은 제품 군이 다양할 뿐 아니라 경쟁회사들보다 안정적인 기능을 발휘하여 작년 10월말 기준으로 1억 2천만 개 이상이 팔린 기록을 자랑한다. 올해 출시될 각종 스마트폰용으로도 키패드, 플래쉬, 디밍, 백라이팅, 펀라이팅 등 다기능이 포함된 조명 관리 유닛 (Light Managment Unit)등을 단계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작년 7월에 미국의 센서 기술 전문업체인 Texas Advanced Optoelectronic Solutions (TAOS)을 인수한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양사가 보유하던 조명 센서 집적 기술 포트폴리오를 넓힘으로써 휴대용 기기뿐 아니라 일반 조명의? 다양한 조명 관리 솔루션으로 이 분야의 선두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다.?

오스트리아마이크로시스템즈는 TAOS와의 합병을 통해 조명관리솔루션의 선도기업을 지향한다.

이러한 합병의 결과 프린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각종 라이팅 센서와 칼라 센서 뿐 아니라 각종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관리 솔루션 분야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이다. 파워매니지먼트에 라이팅, 플래쉬 기능을 집적시킨 제품들을 통해 향후 2년 이상 새로운 기술의 흐름을 주도한다는 게 이 회사의 전략이다.
?
파워와 디스플레이 관리 기술을 합친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이미 PND에 아주 유용하게 적용되어서 튜너, 자이로 센서, 백카메라, 디스플레이, 튜너 등에 UI 기능을 보태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파워 관리분야에서도 충전기, USB 충전기, 오디오 기능을 접목해 주목을 받는 등 이 회사는 각종 스마트 기기에 필요한 고부가 기능들을 속속 개발하고 있다.

<알려드립니다>
반도체/모바일 분야의 기술 및 시장 정보 컨설팅 회사인 세미컴의 김홍덕 대표가 지난 25년 간의 시장 조사 및 홍보 마케팅, 외신 기자 경력을 바탕으로 “김홍덕의 글로벌 리포트”를 기고합니다.??
본 칼럼에서는 국내의 모바일 및 IT 관련 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각종 시장 및 기술 자료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게 되며 국내의 타 언론이나 기관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를 위주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이 알고 싶어하는 외국의 관련 기관이나 업체가 있으면 hordon@semicomm.co.kr 이나 contact@semicomm.co.kr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본 칼럼을 통해 알게 된 정보가 독자 여러분의 해외 마케팅이나 국내의 사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본 칼럼은 실리콘 밸리 지사를 통해 소싱한 자료들을 에세이 형식으로 혹은 회사 소개의 형식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유럽의 회사와 기관들도 직접 방문, 취재함으로써 국내 독자 여러분의 정보 욕구를 다양한 시각으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전시회와 세미나의 참관을 통한 현장감 있는 기사와 정보를 기대하셔도 됩니다.

(Visited 56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