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데이터 불통 보상 ‘최대 3000원’

      LGU+ 데이터 불통 보상 ‘최대 3000원’에 댓글 닫힘

LG유플러스가 지난 2일 3G 데이터 불통과 관련, 가입자 보상책으로 1000~3000원을 제시했다. 데이터 망 장애 원인으로는 이상 트래픽 발생으로 인한 관련 장비 과부하를 꼽았다.

LG유플러스는 3일 지난 2일 오전 8시부터 발생한 데이터 망 장애에 대한 보상과 관련, ‘데이터 정액제 1일 기본료의 3배 (약관상 보상액)의 최대 3배’를 보상 기준으로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스마트요금제 가입자 및 스마트폰 데이터 정액제 가입자는 3천원 ▲피처폰 데이터 번들 요금제 및 데이터 정액제 가입자 2천원 ▲일반요금제(종량제) 가입자는 무료 문자 50건(1천원 상당) ▲청소년 요금제 경우 1천링(1천원 상당)을 보상 받게 된다. ▲기타 데이터 요금제(안심정액데이터 및 법인) 경우, 기본료에 따라 산정토록 했다.

신청기간은 이달 11일부터 31일까지이며,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보상 방법은 9월 요금고지서에 반영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또한 데이터망 장애에 대해서는 이상 트래픽 발생으로 인한 관련 장비 과부하가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2일 오전 8시경부터 순간적으로 5분 동안 데이터 트래픽이 평소보다 5배 증가한 140만~150만 착신시도가 발생, 무선인터넷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는 대용량 PDSN(Packet Data Serving Node)과 기지국을 통제하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 등 관련 장비들이 과부하로 인해 데이터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평상시 데이터 트래픽은 20만~30만 수준으로 전혀 예기치 못한 일시적인 비 정상적인 트래픽 발생이었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이후 오전 8시부터 호제어를 통해 점차적으로 관련 장비들을 복구 오전 12시경에는 70% 복구 했고, 오후 5시부터는 전국적으로 데이터 서비스가 안정화 됐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회사측은 복구 시간이 지연된 것은 전체 망에 부하를 주지 않고 과부하 기지국 하나하나를 점검하면서 순차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복구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트래픽을 유발시켰던 사이트는 관리 범위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어서 이 부분은 추후 면밀히 조사를 할 예정이다. 조사결과는 전체적인 착신시도호에 대해 전수 조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 부분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회사측은 내다봤다.

향후 대책으로는 ▲8월과 9월에 PDSN 용량 개선을 통해 CPU 성능과 메모리를 증대하고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조기 도입키로 했다.

또한 ▲정상적인 데이터 트래픽이 아닌 스마트폰에서 앱들이 기지국과 수시로 교신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기기간의 시스템 트래픽(Keep Alive Message)이 과부하를 발생시 통제 대책도 수립, 시행할 방침이다.

(Visited 40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