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주년을 맞은 LG에릭슨이 LTE 등 차세대 장비 공급을 기점으로, 올해를 도약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LG에릭슨은 내달 국내 처음 상용화되는 LTE 관련,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와 인프라 구축을 진행 중이다.
LG에릭슨(대표 이재령)은 23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출범 1주년 간담회를 갖고, “내강외강으로 글로벌 통신시장에서 정면 승부를 펼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LG에릭슨은 기존 LG-노텔의 노텔측 지분을 에릭슨이 인수하며, 회사명을 ‘LG-에릭슨’으로 변경하고 지난해 7월 1일부로 공식출범 했다.
LG에릭슨은 전세계 통신장비 시장을 선도하는 에릭슨과의 협력을 강화, LTE를 포함한 유수의 차세대 통신장비 및 서비스 기술 개발 협력에 박차를 가하며,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확대한다는 목표다.
?
올해 본격적인 LTE 투자시기가 도래하고, IP컨버전스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LG에릭슨은 올해를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이를 위해 무선통신 사업분야에서 LG에릭슨은 올해 LTE 상용 서비스의 안착을 위해 장비의 적기 개발 및 공급, 안정적인 네트워크 품질 확보 등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에릭슨은 올 초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LTE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돼 현재 이들과 함께 LTE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
기업통신 사업분야 역시 기존 국내 IP-PBX 및 키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는 동시에 데이터 인프라, UC 및 IPT 부가 솔루션의 라인업 확대 등을 통해 전체적인 사업 매출 비중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수출품목을 기존 보이스 솔루션 및 터미널 중심에서 중/대형 IP-PBX 및 SMB DATA 사업 제품군까지 신시장 개척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에릭슨과 전 사업분야에 걸친 협력체제도 더욱 긴밀하게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G에릭슨의 한국 통신장비 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에 에릭슨의 전세계적인 영업망과 기술력을 더해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LG에릭슨의 독자 광 전송장비 WDM-PON 제품이 에릭슨의 판매 제품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 전세계 약 180여 개 국가에서 에릭슨의 글로벌 영업망을 통해 이를 판매할 수 있게 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재령 사장은 “현재 LG에릭슨과 에릭슨간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되는 프로젝트들이 많다”며, “양사 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는 만큼, 보다 공고한 협력 관계 속에 시너지를 통해 국내는 물론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통신장비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LG에릭슨은 현재 700여 명의 핵심 연구인력을 보유한 자사 안양연구소와 에릭슨 R&D 간 차세대 제품 공동개발 프로젝트 등에 대한 효율적인 협력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이재령 CEO는 “이 같은 형태 협력으로 LG에릭슨은 기업통신 제품뿐 아니라 사업자용 핵심 유무선 통신기술을 전세계 수출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변모할 것”이라며, “이 같은 시너지를 발휘해 향후 LTE 등의 새로운 영역에서도 우리 회사의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진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에릭슨도 LG에릭슨 안양연구소가 글로벌 통신장비 R&D센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 및 투자를 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마츠 올슨 에릭슨 그룹 부회장 및 에릭슨 동북아지역 총괄 사장은 “한국 모바일 네트워크 시장 리더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LG에릭슨 R&D조직의 경험과 기술력은 에릭슨에게 든든한 힘이 돼주고 있다”며,”LG에릭슨은 에릭슨의 한 가족으로써 상호간 긴밀한 협력과 그 시너지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동반 성장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