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한국판 구글어스’ 개발을 본격화한다.
국토해양부는 8일, 누구나 국가가 구축한 공간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구축 중에 있으며, 이를 운영할 전문 운영기구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구축은 최근 인터넷 포털과 스마트폰 등에서 다양한 지도서비스와 공간정보 융합 서비스들이 인기를 끌지만, 정부에서 구축한 공간정보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 때문에 수요자가 이를 직접 제작?가공하거나 구글어스와 같은 외국의 공간정보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간 우리나라는 ’95년부터 국가GIS사업을 추진하면서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공간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각 부처?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간정보의 양은 실로 다양하고 방대하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국토부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을 통해 2D기반의 기존 자료를 통합 제공하는 것은 물론, 구글어스보다 해상도가 우월한 3D지도와 항공사진, 수치표고모형 등을 서비스 할 예정이다.
또한 공간정보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과 오픈API(제작소스)를 제공, 벤처기업과 1인창조기업의 활동을 뒷받침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기술환경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 서비스를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라는 비영리법인을 설립, 플랫폼을 운영토록 할 계획이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는 초기에는 정부와 민간?공공기관이 공동출연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수익모델 창출을 통해 완전 민간운영 법인으로 출범시켜 구글어스를 능가하는 공간정보의 허브로 육성시킨다는 게 국토부 구상이다.
한편, 이를 위해 국토해양부는 지난 2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가칭) 출연기관 모집공고 및 설명회 개최계획’을 국토부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했다.
오는 9일에는 국토연구원에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의 민간참여를 유치하기 위한 설명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운영센터’ 설립계획 및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파일롯 모형 소개’와 출연의향서 제출에 대한 사항 등이 안내될 예정이다.
출연의향서 제출시기는 6월 30일까지이며, 출연규모 및 출연기업에 대한 혜택 등에 대한 사항은 출연의향서 제출 후 협상을 통해 결정하게 된다고 국토부는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