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복수표준 ‘예상대로’

      스마트폰 복수표준 ‘예상대로’에 댓글 닫힘

방송통신위원회는 23일 전체회의를 열고 일반휴대폰에 대해서는 천지인 단일표준을,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천지인, 나랏글, SKY 복수표준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가표준화 방안은 기존 상용화된 방식 중 표준을 정하는 1단계 표준화의 정책방안을 확정한 것으로, 2단계에서는 민간포럼 운영을 통해 미래형 한글자판 표준안을 도출하게 된다.

스마트폰 한글자판이 천지인, 나랏글, 스카이 3가지 방식 혼용으로 결정됐다. 사진은 옵티머스Z에서 구현한 '나랏글' 입력방식.

방통위 박재문 융합정책관은 “이번 표준화 방안은 한 가지 자판만 탑재 가능한 일반 휴대폰에 대해서는 국민 선호도가 가장 높은 천지인으로 통일했다”며, “아울러 여러 가지 자판을 탑재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는 천지인, 나랏글, SKY 모두를 탑재토록 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했다”고 말했다.

현재는 특허권 문제로 스마트폰에 타사 방식을 탑재할 수 없지만 각 기업이 자사 방식의 표준 채택을 전제로 특허권 무료사용을 선언, 3가지 방식 모두 표준으로 채택된다면 소비자는 스마트폰에서 원하는 방식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 지난 18일 열린 ‘휴대폰 한글 자판 공청회’에서 국가표준화 작업에 참여해온 소비자단체 구성체인 ‘소비자선정위원회’(위원장 송보경)는 “스마트폰 3개 복수 표준안은 선정위 공식 제안이 아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관련기사: 스마트폰 복수표준? ‘딴목소리’>

반면 방통위와 지경부, 이동전화사업자와 단말제조사 등 업계에서는 일반폰 단일표준과 스마트폰 3개 복수표준안을 수렴, 이를 제안했다. 방통위 이날 결정은 이를 수용한 것이다.

이번 방통위의 결정 이후 방통위 전파연구소와 지경부 기술표준원은 구체적인 국가표준 적용대상 기기, 각 문자입력방식의 정의 등을 확정한 후, 방송통신표준심의회와 국가표준심의회 등 국가표준제정절차를 거쳐 6월 초 최종 국가표준을 제정하게 된다.

한편, 휴대폰 한글자판 표준화는 95년부터 구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에서 추진해왔지만 이해당사자간 이견으로 이뤄지지 못하던 중, 작년 10월 중국이 한글자판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는 이른바 ‘한글 공정’ 보도 이후 논의가 본격화 됐다.

(Visited 102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