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독자 SNS API 연내 공개”

      LG U+ “독자 SNS API 연내 공개”에 댓글 닫힘

독자 SNS 서비스를 내놓은 LG유플러스가 관련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공개를 통해 외부 서비스 참여를 확대키로 해 주목된다. 또 해당 서비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마련에도 나선다.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 www.lguplus.com)는 13일, 한국형 트위터 ‘와글(Wagle)’과 LBS 기반 ‘플레이스북(placebook)’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2종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내놓으며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
회사측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업자 중에서 독자적으로 SNS를 개발해 출시한 것은 LG유플러스가 처음이다.

이에 앞서 LG유플러스는 ‘탈통신’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목하고, 지난 11월 페이스북과 SNS에 대한 포괄적 협력을 맺은 바 있다.

LG유플러스가 ‘와글(Wagle)과 ‘플레이스북(placebook)’ 등 SNS 2종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내놓으며 통신사 최초로 SNS 사업에 진출한다.

이번 ‘와글’과 ‘플레이스북’은 LG유플러스 가입자뿐 아니라 KT, SK텔레콤 등 통신사와 관계없이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손쉽게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와글(Wagle)’은 휴대폰 주소록을 기반으로 한 한국형 트위터로, 서비스 가입 즉시 주소록에 저장된 지인들과 자동으로 관계를 맺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점차 인맥을 확장하는 구조로 돼 있다.
?
트위터의 글이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는 반면 ‘와글’은 정보성 글과 사적인 글에 따라 그룹별로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그룹간 소통에 강점이 있다. 무료 실시간 대화 및 사용자 현재 위치에서 주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

LG유플러스는 ‘와글’을 한국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오픈 플랫폼화해 지인 중심의 사진?동영상 공유 등 다양한 SNS로 진화해 나갈 계획이다.
?
‘와글’은 현재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베타 버전 형태로 제공되며, 애플 앱스토어과 안드로이드 마켓, OZ스토어, T스토어에서 무료로 내려 받아 회원 가입 후 사용 가능하다.
?
위치 기반의 SNS인 ‘플레이스북(placebook)’은 장소를 중심으로 내 기록을 남기고 지인들과 이야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맛집 등 내 주변 지역 정보를 지도와 위성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맛집 리뷰 등 다른 사용자들 리뷰를 조회하고, 친구들의 관심 지역을 탐색해 댓글과 쪽지를 주고 받는 등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특히 ‘플레이스북’은 자주 방문하는 장소에 발자취를 남기는 ‘첵(check)하기’ 기능을 삽입해 해당 장소를 가장 많이 방문한 순서대로 유저들에게 금?은?동메달을 부여한다.
?
또 ‘패션 리더들이 선택한 핫플레이스’, ‘공짜로 주차할 수 있는 곳’, ‘지름신이 강림하는 곳’, ‘길가다 화장실이 급할 때’ 등 다양한 테마별 지역 정보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NHN과 제휴,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도 및 각종 지역 정보 콘텐츠를 활용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서울?경기의 지역 정보를 수집해 제공하고 있다.
?
회사측은 ‘플레이스북’이 향후 사용자들 스스로 주변 POI(Point of Interesting)에 대한 정보를 올리고 지인들과 공유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자발적인 SNS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페이스북과 트위터 계정을 사전에 등록해 놓으면 ‘플레이스북’에 올리는 글과 사진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자동으로 포스팅될 뿐 아니라, 별도 회원 가입 없이 페이스북과 트위터 ID로 ‘플레이스북’에 로그인해 이용 가능하다.
?
‘플레이스북’은 향후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쇼핑 기능을 지원하고 오프라인 가맹점의 홍보, 광고를 지원하는 종합적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진화할 계획이라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플레이스북은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애플 앱스토어과 안드로이드 마켓, OZ스토어, 올레마켓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회원 가입 후 사용 가능하다.

LG유플러스는 향후 SNS, 위치(location)는 물론 커머스(commerce), 통신을 연계한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 사업을 통해 라이프 웹 생태계를 선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라이프웹(Life Web) 사업부 조산구 상무는 해당 기술의 API 공개와 관련, “욕심으로는 처음부터 이를 다 공개하고 싶지만, 기술적 한계가 있다”며, “가능한 빨리 SDK와 API를 공개해 예를 들어 ‘비디오 와글’ 등 서드파티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연말에는 10개 이상 외부 서비스가 출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조 상무 약속이다.

조 상무는 또한 주소록 연동 서비스 성격 상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 “주소록을 선택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도 마련 중에 있다”며 “이러한 이슈가 불거지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Visited 39 times, 1 visits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