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장점은 속도?정확성”

      [일문일답]“장점은 속도?정확성”에 댓글 닫힘

16일 모바일 음성검색 서비스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구글코리아 이원진 대표는 “몇 년 걸린 서비스가 몇 개월만에 한국 시장에 런칭된 것은 그만큼 구글이 한국 시장을 중시한다는 것”이라며, “구글의 모바일 1등은 2년 만에 한국 시장 1등을 차지한 유투브보다 빠를 것”이라고 장담했다.

조원규 R&D센터 사장은 “바야흐로 모바일 시대가 도래,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구글의 글로벌 모바일 검색 트래픽이 2년간 5배 성장했고, 한국에서도 지난 6개월간 무려 10배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구글의 모바일 음성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노이즈 환경에서도 인식률이 뛰어난 화자 중심의 서비스다”며, “음성검색 시 꼭 필요한 많은 연산과 저장공간 문제를 단말 아닌 서버에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해결했다”고 강조했다.

16일 구글은 모바일 음성검색 서비스를 발표하면서 자사 서비스 장점으로 '속도'와 '정확성'을 꼽았다. 이날 발표회 모습.<사진: 아이폰>

다음은 이날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답변에는 구글 마이크 슈스터(Mike Schuster) 음성인식 총괄 연구원과 조원규 사장, 이해민 모바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맡았다.

Q1.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먼저 모바일 음성 검색이 도입된 나라 경우 얼마나 쓰이나?
마이크 슈스터 연구원
: 국가마다 상황이 다르다. 일본어 음성검색 기술 개발에 참여해서 아는데, 일본 경우 아이폰 사용자들이 음성검색 기술을 많이 사용한다. 매일매일 음성검색 수치 증가하고 있다. 정확히 몇%라고 수치를 말하긴 힘들지만, 매일 증가 추세다.

Q2. 다음 모바일 음성검색과의 차별화 요소는?
조원규 사장
: 경쟁사 제품 언급은 곤란하다.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뒤에서 벌어지는 일은 구글이 독창적이다. 구글 서비스는 정확하고 빠른 인식 성능을 보여준다. 직접 사용해보면, 기술 구현 방식 자체가 다르다는 걸 알게 될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우리만 한다는 게 아니라 연산과 인식 알고리즘, 방식 등이 다르다는 것이다. 세계적 수준이다. 역시 가장 큰 차이는 정확성과 속도다.

Q3. 국내 독특한 단어나 사투리는 어떻게 반영하나?
마이크 슈스터
: 한국 분도 이해 못하는 사투리 정도는 음성검색도 힘들 듯하다. 이 역시 개선될 것이다.

Q4. 구글 검색이 자연어 검색이라는데 음절단위로 이해하나, 아님 단어 단위 인식하나?
마이크 슈스터
: 음절이 모여, 단어가 되고, 단어가 어구를 이룬다. 통계적 확률 시스템을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을 적용하는 구조다. 주어진 음성학 정보를 갖고 가장 높은 결과를 노출하게 된다.

20만개 단어의 무제한 조합을 다 인식할 수 있어 무제한이랄 수 있다.

Q5. 클라우드 컴퓨팅 없는 음성인식의 실용화도 가능한가?
조원규
: 언젠가는 손 안에 수퍼컴이 있을 수도 있다. 불가능 하진 않지만, 기본적으로 음성 인식 처럼 연산/저장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휴대폰 구현에 있어 기술적 성능 구현이 많아져야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미래 모습이다.

Q6. 검색에만 음성인식이 쓰이나? 받아쓰기는?
이해민 PM
: 음성 입력기 다른 나라에는 있다. 한국어 경우, 음성검색 런칭 후 더 기술이 높아지면 음성입력기 또한 출시할 계획이다.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등 해결과제들이 있다. 최대한 품질 높여 론칭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Q7. 음성입력 경우, 인식률 목표는?
마이크 슈스터
: 2년전 영어 출시 당시 목표는 절반이었다. 지금은 70% 성공률을 보인다. 실패율에도 문장 단위 음성인식 에러가 포함돼 있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이 정도면 훌륭하다는 평가다. 사용에 문제가 없는 정도다. 65% 정도 성공만 하더라도 사용할만하다는 게 자체 평가다. 한국어 검색 정확도는 보다 높다.

Q8. 단말에서 이용은 언제 가능한가? 아이폰 어플 다운은?
이해민
: 오늘 간담회는 출시 발표 자리다. 일정은 정확히 말하기 어렵다. 서버단은 이미 가능하다. 사용자가 직접 이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조사, 이통사 결정이 필요하다. 휴대폰에 얹는 건 그쪽 일이다. 제조사와 조율 중이다.

오늘 발표 이유는 빠른 시간 내 휴대폰에 탑재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단말 업체 등과 최종조율을 진행하고 있다.

아이폰 경우, 모바일 웹이나 앱 형태, 빠른 시간 내 가능할 것이다.

Q9. 모바일 검색의 향후 진화 방향은?
마이크 슈스터
: 문자 입력 키보드를 완벽히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다. 보완재로 음성인식 기술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본다. 많은 분들이 말로 휴대폰에 인풋하는 걸 선호한다. 밤이나 주말에 트래픽이 많이 발생한다. 직장보다는 혼자 있을 때 전화기에 대고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는 게 흥미롭다.

(Visited 32 times, 1 visits today)